ADVERTISEMENT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마린온 무장형' 국산 도입으로 최종 결정

중앙일보

입력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을 추가한 개조형으로 상륙공격헬기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무장을 추가한 가상의 그림 [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에 무장을 추가한 개조형으로 상륙공격헬기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무장을 추가한 가상의 그림 [KAI]

적진에 상륙하는 해병대에게 화력을 지원하는 상륙공격헬기를 국내서 개발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군 안팎에서 국내 개발 방식은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던 만큼 논란이 예상된다.

방위사업청은 26일 열린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에서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도입 계획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는 상륙 병력이 탑승한 기동헬기를 호위하고, 지상과 공중의 위협을 타격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정부는 2031년까지  1조 6000억원을 투입해 국내 방산 업체가 개발한 뒤 24대를 도입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무인기와 함께 작전하는 유ㆍ무인복합체계(MUM-T)도 연구하기로 했다.

그동안 정부는 해외 도입 방안과 국내 개발을 동시에 검토해 왔다.

바이퍼(AH-1Z).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바이퍼(AH-1Z).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미국 해병대가 운용하는 AH-1Z 바이퍼, 영국군이 해상·상륙작전을 위해 도입한 AH-64E 아파치, 국내 방산 기업인 한국한공우주산업(KAI)에서 개발하는 마린온 무장형이 후보군에 포함됐다.

아파치(AH-64E).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아파치(AH-64E).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바이퍼는 처음부터 해상작전을 위해 설계됐고, 아파치는 해상작전에도 투입하도록 방염처리 등을 강화했다. 마린온 무장형은 육군에서 도입한 수리온을 해병대 목적으로 개조한 마린온 기동헬기에 바탕을 둔다. 병력 탑승 대신 무장과 방탄 장갑을 추가해 공격형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마리온(MUH-1) 무장 개조형.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마리온(MUH-1) 무장 개조형.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지난 2016년 방사청의 선행연구는 해외 구매가 유리한 방안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2019년 2차 연구결과는 국내 업체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180도 방향이 바뀌었다. 결론이 나지 않자 방사청은 최근까지 ‘상륙공격헬기 사업분석’을 추가로 진행했다. 그러나 국내 개발 방식이 더 적절하다는 2차 연구결과의 결론은 바뀌지 않았다.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 출석한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이 국감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뉴스1

지난해 10월 국회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종합국정감사에 출석한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이 국감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뉴스1

국산 무기를 구매하라는 정부 방침에 무게가 실리자, 해병대는 반발했다. 지난해 10월 26일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당시 이승도 해병대 사령관은 “기동성과 생존성이 보장되는 헬기, 공격 헬기다운 헬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마리온 무장형 도입을 반대한다는 의사를 드러낸것이다.

정부와 KAI 관계자는 국내 개발과 해외 도입 사이에 성능 차이는 있지만, 해병대 공격헬기로 채택하는 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마린온 개조형도 임무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최소 수준의 작전요구성능(ROC)을 충족한다고 주장한다. 마린온 개조형과 비교하면 아파치는 약 1.09배, 바이퍼는 약 1.07배 수준으로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는 분석을 근거로 제시한다.

지난해 11월 해병대가 최초의 여군 헬기 조종사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해병대 여군 최초로 헬기 조종사 임무를 수행하는 조상아 대위가 마린온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 [해병대사령부]

지난해 11월 해병대가 최초의 여군 헬기 조종사를 배출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해병대 여군 최초로 헬기 조종사 임무를 수행하는 조상아 대위가 마린온 앞에서 기념사진을 찍는 모습. [해병대사령부]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군 관계자는 “군에서 실시한 모의 교전을 보면 작전 효과, 성능 차이는 2배 이상 크게 벌어진다”고 말했다. 정부는 성능과 국산화라는 두 가지 선택 사이에서 국산화를 우선했다고 해석된다.

이밖에도 이날 방추위는 ‘패트리어트 성능개량 2차 사업’과 ‘대형수송기 2차 사업’은 국외구매로 추진하기로 했다. ‘공지통신무전기 사업’은 국내 연구개발과 국외구매를 병행하는 방안을 심의·의결 했다.

또한 국내 연구개발로 추진 중인 ‘장보고-III Batch-II 사업’ 후속함 건조 계획과 ‘군 위성통신체계-II 사업’ 양산 계획을 결정했다. ‘백두체계능력보강 2차 사업’은 체계개발기본계획을 확정했다.

이철재·박용한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