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자산어보 이후 200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강혜란 기자 중앙일보 문화선임기자
강혜란 문화팀 부장

강혜란 문화팀 부장

요즘 극장 상영 중인 이준익 감독의 흑백사극 ‘자산어보’는 손암 정약전(1758~1816)이 흑산도 유배 생활 중 남긴 어류박물지 『자산어보』에서 모티브를 땄다. 정약전은 책 서문에서 “흑산(黑山)이란 이름이 어둡고 처량해 두려운 느낌을 줘서 비슷하게 어둠을 뜻하는 ‘자산(玆山)’으로 대신 쓴다”고 밝혔다. 대체로 ‘자산’으로 읽지만 일각에선 ‘검을 현(玄)’을 두 개 포갠 ‘현산’으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약전의 책을 꼼꼼하게 재해석한 『현산어보를 찾아서』(총 5권, 2003년 완간)의 저자 이태원씨(서울 세화고 생물학 교사)가 대표적이다.

노트북을 열며 4/15

노트북을 열며 4/15

이 씨는 서른 안팎에 책을 쓰며 『자산어보』 서문에 등장하는 인물 창대의 계보도 추적했다. 정약전은 창대를 일러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좋아하였으나 집안이 가난하여 책이 많지 않았다”고 하면서 그의 도움으로 책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영화에서 변요한이 연기한 어부 창대는 우여곡절 끝에 과거 급제하고 정약용의 『목민심서』 정신을 구현하려다 좌절하는 걸로 나오지만, 이는 허구다. 오히려 창대 집안에 내려온 이야기는 이렇다. “하룻밤에 사서삼경을 다 외울 정도로 총명했던 이가 어느 순간 총기를 잃고 편지도 남의 손으로 빌려 쓸 지경이 됐다더라.” 근해의 동·식물 200여종에 대해 꼼꼼한 이해를 도운 20세(추정) 청년의 재능이 서해의 절해고도를 벗어나지 못한 채 시든 것이다.

이 같은 신세는 서학 죄인으로 찍혀 유배지에서 생을 마감한 정약전 뿐 아니라 그의 책도 마찬가지. 현재 전하는 『자산어보』는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고려대 등에 소장된 필사본 몇권뿐이다. 인쇄본 보급은커녕 소수가 돌려보다가 책장에서 대물림된 게 전부였으니 『자산어보』에 그 어떤 실용지식이 있었던들 백성들 삶을 낫게 하는데 기여할 수 없었다. 영화에서 보이는 19세기 조선사회의 부조리와 모순이 이렇게도 증명된다.

“젊었을 때 정약전 책을 처음 접하고 ‘우리에게도 이런 게 있었구나’ 감격하고 자부심을 느꼈다. 세월이 지나니 이런 책과 사상이 간헐적으로 나왔다가 묻히기를 반복했던 당대 체제의 한계가 더 눈에 들어온다.” 이번 영화에 자문위원으로도 참여한 이 씨의 말이다. “문제는 지금도 별로 안 다르단 점이다. 학교에서도 수능 문제풀이가 우선이지 정약전이니 한반도식 생물학 역사니 하는 걸 거들떠볼 틈이 없다. 소수는 출세길로 나아갈지 몰라도 나머지는 패배자가 돼버린다.” 그의 교실에서 혹시 21세기의 창대가 시들어가고 있는 건 아닐까. 또 다른 정약전이 은거지사로 묻히고 있는 건 아닌가. “사극은 시대를 보는 거울”이라는 이준익 감독의 말이 새삼스럽다.

강혜란 문화팀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