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미 군 당국 북한 미사일 협의…일본 협력 중요성 언급

중앙일보

입력

북한이 지난 25일 새로 개발한 신형전술유도탄 시험발사를 진행했다며 탄도미사일 발사를 공식 확인했다. [조선중앙TV 화면캡쳐]

북한이 지난 25일 새로 개발한 신형전술유도탄 시험발사를 진행했다며 탄도미사일 발사를 공식 확인했다. [조선중앙TV 화면캡쳐]

한ㆍ미 군 당국은 북한 탄도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협의를 가졌다.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공식화 했던 26일에 이뤄졌다. 이날 협의에선 일본과의 3자 협력의 중요성도 언급했다.

27일 국방부는 전날인 26일(한국시간) 조용근 국방부 대북정책관과 데이비드 헬비 미 국방부인도태평양안보 차관보 대행이 전화통화를 가졌다고 밝혔다.

한ㆍ미는 이날 통화에서 지난 25일 함경남도 함주에서 있었던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발사와 관련해 정보를 공유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군 당국에 따르면 북한은 25일 오전 함경남도 함주에서 탄도미사일 두 발을 연이어 동해 위로 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는 지난해 3월 29일 이후 1년 만이다. 조 바이든 정부 출범 이후 첫 탄도 미사일 도발이다. 북한은 바이든 정부 출범 직후인 1월 22일 순항미사일을 쏘기도 했다.

북한이 25일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중앙일보]

북한이 25일 탄도미사일 2발을 발사했다. [중앙일보]

지난 25일 북한이 쏜 탄도미사일은 지상에서 이동식 발사대(TEL)를 이용해 발사됐다. 발사 지점에서 동쪽으로 약 450㎞를 날아갔고, 최고 비행 고도는 약 60㎞로 파악됐다. 이날 합참 관계자는 “한ㆍ미 정보당국은 단거리 탄도미사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정밀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루 지난 26일 북한의 관영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은 전날인 25일  ‘신형전술유도탄’을 시험 발사했다고 공식 확인했다. 북한이 공개한 사진과 설명을 볼 때 이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은 ‘북한판 이스칸데르’로 불리는 KN-23의 확대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한반도 전역이 타격권에 들어온다.

북한 신형미사일 사거리 600km 한반도 전역 타격권.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북한 신형미사일 사거리 600km 한반도 전역 타격권.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를 공식화 한 당일(26일)에 한ㆍ미 양국 간 협의가 이뤄졌다. 한ㆍ미는 공조통화에서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

하지만 국방부는 공조통화 관련 보도 자료에서 이번 미사일 발사에 대해 ‘탄도 미사일’이란 평가는 여전히 포함하지 않았고 ‘단거리 미사일’로 적시했다.

다만, “북한의 탄도미사일 및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이 동북아 지역을 넘어 평화와 안정을 중대하게 위협하고 있다”며 에둘러 표현했다.

미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인 존 폴 존스함(DDG 53)이 SM-2 블록 ⅢA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이 구축함은 2016년 6월 첫 탄도미사일 경보 훈련에 참가했다. [사진 미 미사일 방어국]

미국 해군의 이지스 구축함인 존 폴 존스함(DDG 53)이 SM-2 블록 ⅢA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다. 이 구축함은 2016년 6월 첫 탄도미사일 경보 훈련에 참가했다. [사진 미 미사일 방어국]

양국은 협의에서 일본과의 협력도 강조했다. “북한의 위협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억제 및 대응하기 위해 긴밀히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면서 “일본과의 3자 협력의 중요성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3자 협력의 가능성은 지난 18일 한ㆍ미 외교ㆍ국방장관(2+2) 회의에서 강조됐다. 한ㆍ미는 회의 종결 뒤 나온 공동성명에서 “한ㆍ미ㆍ일 3국 협력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역내 평화ㆍ안보ㆍ번영을 위해 상호호혜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협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ㆍ미ㆍ일 3국은 북한 탄도미사일을 탐지 및 추적하는 ‘미사일 경보훈련’을 2016년 6월 처음 실시한 뒤, 지금까지 분기마다 같은 훈련을 반복하고 있다. 다만,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ㆍ지소미아) 파기가 거론되면서 3국 간 정보 협력 약화와 맞물려 ‘미사일 경보훈련도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 바 있다.

박용한 기자 park.yongh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