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이식수술 세계수준"

중앙일보

입력

국내 간이식수술 성적이 세계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장기이식센터 이석구(李奭九) 교수팀은 지난 2001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간이식 수술을 받은 19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술 후 1년 생존율이 82.6%, 수술성공률이 91.1%로 각각 미국의 76~80%, 85%에 비교해 우수했다고 19일 밝혔다.

간이식 환자의 유형은 ▲간암 47명(40.1%) ▲간경화 36명(31.3%) ▲급성간부전과 담도폐쇄 각 8명(7.0%) ▲담즙 정체성 간질환 6명 ▲신생아간염 2명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남성 86명, 여성 29명으로 남성이 3배 가량 많았는데, 남성이 많은 이유는 B형 간염이 남성에게 많고, 간암 역시 남성이 5배 정도 발병률이 높기 때문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

간이식은 보통 10~12시간이 걸리는 대수술로 간기능이 떨어져 여러 가지 합병증(복수, 황달, 간성 혼수, 토혈 등)이 나타나고 생명 유지가 어려운 말기 간경변증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법이다.

이 교수는 "정상인이 자신의 간 일부를 떼주는 생체 간이식수술을 해도 2개월 정도면 정상수준으로 간이 자라나기 때문에 생활하는데 문제가 전혀 없다"면서 "간이식이 활성화 돼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