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 칼럼] 지속가능한 산학협력 생태계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김우승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 공동위원장

김우승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 공동위원장

헬싱키에서 서북부 방향으로 180㎞쯤 떨어진 핀란드 제2 도시 탐페레에 있는 탐페레대학(TUT)은 우리에게 낯선 이름이다. 하지만 1996년 세계 최초로 스마트폰이 탄생한 것은 노키아와 TUT의 산학협력 결과물이었다. 대학 주변에 테크노파크와 핀란드 기술연구센터가 함께 입주해 있으면서 산·학·연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와 국가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탐페레를 포함해 스웨덴의 시스타, 이스라엘의 키리아트와이즈만 혁신 클러스터, 미국의 실리콘밸리·리서치트라앵글파크(RTP) 등 해외를 보면 예외 없이 대학(Campus)·산업체(Company)·지역사회(Community)로 이뤄진 ‘3C’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호협력을 통해 지역발전을 이끌고 있다. 우리나라도 각종 제도와 정책을 통해 산학협력이 활성화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특히 초연결·초융합·초지능화가 가속화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지속가능한 산학협력을 유도할 수 있는 정교한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사업은 2012년 시작됐다. 지역대학과 지역산업의 공생발전을 이끌고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 특성화, 현장 중심 교육 및 창업교육 강화 등 종합적인 지원을 한다. 2017년부터는 사회 맞춤형 산학협력 선도(전문)대학(LINC+) 육성 사업으로 이어졌다. 대학 특성에 기반을 둔 자율적 모델 창출을 핵심으로 진행하고 있다. LINC 사업은 인재양성, 연구개발·기술사업화, 인프라 구축 등 패키지 사업이다. 대학이 산학협력의 전진기지가 되도록 체질 개선을 유도한다.

이런 산학협력 인프라 조성사업은 2단계를 마치고 3단계로 넘어가고 있다. 산업선도형 대학의 육성과 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3단계 사업을 설계할 때에는 선진화한 산학협력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연구진 및 학생들을 위한 현장 경험 제공 등 다양한 연계 활동이 뒷받침돼야 할 것이다. 연구 현장에서도 객관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정부사업 종료와 동시에 그간 구축한 협력관계 역시 종료되는 것은 아닌지 연구 생태계에 참여하고 있는 주체들 스스로 자문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정부 사업으로 대학 내에 설립한 각종 센터가 사업 종료 후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는지 조사해 미진한 부분을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대학과 산업계의 강력한 파트너십이 단단한 기반에서 자생할 수 있도록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김우승 국가산학연협력위원회 공동위원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