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국제사회에 담뱃값 대폭 인상 요구

중앙일보

입력

매년 490만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흡연의 폐해를 줄이기 위 해 세계보건기구(WHO)가 14일 담뱃값의 대폭적 인상을 각국 정부에 촉구하고 나섰다.

WHO 관계자들은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궐련이나 잎담배 가격을 적어도 5%는 인상해야 하며, 가격 인상으로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담뱃값이 10% 오르면 4천만명이 담배를 끊고, 추가로 수백만명이 새로 담배를 피울 엄두를 내지 않을 것으로 추산됐다

WHO는 성명을 통해 '가격 인상을 통해 1천만명의 목숨을 구할 수 있으며, 특히 개도국에서만 900만명이 흡연 사망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국 정부가 담뱃값의 10% 인상에 부담을 갖는다면 먼저 5% 인상안을 관철하고, 점차 10%까지 값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WHO는 제안했다.

담뱃값 인상을 위해 정부는 담배 세금을 인상하는 보건정책을 입안, 시행할 수 있으며, 이것이 특히 청소년 흡연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WHO는 덧붙였다.

WHO의 담뱃값 인상 요구는 192개국 회원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15일 개막된 담배규제기본협약(FCTC) 제정을 위한 국제회의를 앞두고 나온 것이다. FCTC 제정을 위한 회의는 내년 5월 협약 제정을 목표로 지난 99년 시작됐으며, 내년 2월 마지막 회의를 가진다.

담배 광고와 마케팅, 판매 등을 억제하기 위한 이번 회의에 참석한 각국 대표들은 11일간 협상단 의장국인 브라질이 제시한 FCTC 초안을 검토한다. 이 초안은 담배 생산을 감축하고 광고와 판촉을 금지하는 법률을 채택토록 권고해 담배 수출국인 미국, 일본 등의 반발을 사왔다. 초안은 또 담배 광고는 물론 담뱃갑에 `마일드(순한)', `저타르' 같은 광고용어를 표기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한편 WHO는 최근 흡연 관련 질병에 따른 연간 사망자 숫자를 420만명에서 490만명으로 상향 조정하고, 오는 2030년까지 연간 1천만명이 흡연 관련 질병으로 죽을 것이라는 추정치는 상황을 과소평가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제네바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