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호스피스기관 국내 실태]

중앙일보

입력

"병원에서 입원을 거부당해 응급실과 집을 오가다 숨졌습니다. 통증이 심해 마약주사를 맞는 것도 의사들에게 사정해야 했어요. "

최근 남편을 위암으로 잃은 주부 김모씨(52.서울 가락동)의 하소연이다. 대부분의 암환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호스피스기관이 없기 때문이다.

국내 호스피스 기관은 1965년 가톨릭 수녀회에서 처음 설립한 강릉 갈바리 호스피스를 비롯해 60여개가 전부. 그나마 강남성모병원 등 일부 가톨릭계열 병원을 제외하곤 전문의나 병동이 따로 없는 요양기관 수준이다.

병원과 사회로부터 외면당한 말기암 환자들의 치료는 고스란히 가족들의 몫으로 남는다.

98년 서울대병원 허대석 교수팀이 말기암 환자 1백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28.7%가 민간의료에 매달렸으며 호스피스 치료를 받은 경우는 1.9%에 불과했다.

호주나 영국 등 대부분의 선진국에선 정부에서 호스피스 기관을 운영하며 보험혜택을 부여해 싼 값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부분 대규모 병원이 아니라 말기암 환자들이 수시로 찾아가 마약진통제를 맞고 다른 환자들과 어울려 동병상련의 기쁨을 찾을 수 있는 시설이 지역별로 갖춰져 있다.

우리와 경제사정이 비슷한 대만이 호스피스에 관한 한 귀감이 되고 있다.

최근 가톨릭의과학센터에서 열린 국제호스피스 심포지엄에서 대만 국립창궁대 차오 교수는 "시범사업 결과 호스피스를 받은 암환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환자 1인당 하루 2천5백 타이완달러(9만7천원)의 진료비를 절감하는 것으로 드러나 올해부터 보험 적용은 물론 전문의 제도까지 도입했다" 고 설명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