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쯔하이머 치매의 최근 연구 경향

중앙일보

입력

일반적으로 알쯔하이머 치매의 근본적인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나이, 여성, 다운 증후군, 가족력, 두부 외상, 만성적인 약물 복용 등이 위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따르면 여러 물질이 관련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지만 논쟁의 여지가 있으며 apolipoprotein E라고 하는 지질 수송 단백질의 결함이 널리 받아들여져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외에도 presenilin1,2와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의 65세 이전 조발형 알쯔하이머 치매와 관련성이 연구되고 있으며, 염증의 매개체인 싸이토카인, cystatin C 유전자 등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또한, 알쯔하이머 치매 환자의 뇌조직에서 발견되는 산화와 관련되는 화학 물질의 규명과 뇌의 기능 변화를 예민하게 탐색함으로써 각종 뇌 질환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첨단 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술(fMRI)을 알쯔하이머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알쯔하이머 환자에게 기억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케 하면서 뇌의 기능이 활성화되는 정도를 fMRI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바 좌측 해마 영역과 양쪽 해마옆이랑 영역에서 기억과 관련된 뇌 기능 활성화의 정도가 미약하였다는 소견이 발표되어 향후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해 fMRI 소견이 알쯔하이머병의 조기 발견을 위한 생물학적 지표가 될 수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