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도스테론증에 대해서...

중앙일보

입력

Q : 혈압이 높아서 신장내과에서 여러검사를
했는데 원인을 밝히지 못했습니다. 알도스테론증이라는 것때문에 혈압이높을 수 있다는데 그것에 대해 설명해주셨으면 고맙겠습니다.

A : 알도스테론이란 우리 몸의 콩팥(엄밀하게 말하면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우리 신체내의 전해질균형을 마추어주는 중요한 호름몬의 하나입니다. 알도스테론이 분비가 되면 이 호르몬이 우리 몸의 콩팥에서 나트륨이온이 빠져나가는 것을 막게되는데 동시에 수분도 같이 남게됩니다. 나트륨이온이빠져나가지 못하면 그 균형을 맞추기 위해 칼륨이온이 몸밖으로 배설되게 됩니다.

이러한 알도스테론의 기능이 적절할 때는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나 알도스테론을 분비하는 부신피질의 기능에 이상(부신의 종양에 의한 이상)이 생기거나 신혈관 협착증 , 악성 고혈압, 일차성 렌닌증, 에스트로겐 투여등의 원인에 의해 알도스테론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전체 고혈압 환자의 0.5-1% 에 해당하며 20-30 대에 많이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고혈압, 칼륨 배설증가, 저칼륨혈증에 의한 증상으로 근육무력증, 피로감, 다뇨, 야뇨(저칼륨 혈증성 신증), 당대사이상 등이 나타나며 그외 알칼리혈증에 의해 테타니가 나타납니다.

이 대한 치료는 부신의 선종의 경우는 수술을 하게되고 그외의경우는 혈압강하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현재 고혈압을 진단받고 원인에 대한 검사중이라고 하셨는데 고혈압이 있는 환자에서 알도스테론증을 의심하게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혈압 환자에서 저칼륨혈증이 동반될 때 의심
-혈장 레난활성도 감소, 혈장알도스테론치 증가
-체위변동 내지 식염제한, 이뇨제 투여에 의한 레닌자극 실패
-혈액량 증가에 억제되지 않는 증가된 혈장 알도스테론치
-Spironolactone (aldosterone 길항제) 투여에 대한 반응
-종양의 위치 확인: 전산화 단층촬영, 부신정맥 촬영 혹은 혈관도자에 의한 혈액 채취

참고로 레닌은 혈장중의 Na+농도가 정상 이하로 내려가면,그것이 신장을 자극하여 신장에서 레닌(renin) 이라는 물질이 분비됩니다. 레닌은 효소로 작용하여 혈장중에 있는 특수한 단백질을 분해하여 안지오텐신2를 만든다. 이것이 부신 피질의 세포에서 작용하여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하는 기능을 갖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