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성수 수제화 골목은 변신 중… '로봇' 등장하고 청년들은 수제화 열공

중앙일보

입력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제화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청년들이 수제화2호 명장인 정영수씨(오른쪽)으로부터 수제화 수업을 받고 있다. [사진 성동구]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제화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청년들이 수제화2호 명장인 정영수씨(오른쪽)으로부터 수제화 수업을 받고 있다. [사진 성동구]

"좋은 신발은 실밥 끝이 안 보이는 거에요."
지난 22일 오후 서울 성수동 성동지역경제혁신센터 수제화 공방. 정영수(65) 수제화 명장이 봉제선을 내보이며 말을 하자 마스크를 쓴 학생들 눈빛이 반짝였다. 정 명장이 재봉틀 앞에 앉았다. 찰나를 놓칠까 봐 학생들이 앞다퉈 스마트폰을 꺼냈다. 재봉틀 돌리는 장면을 녹화하기 위해서다.

서울디지털재단, 수제화 공방에 '협동 로봇' 지원

서울 성수동 수제화 골목이 변하고 있다. 변화의 동력은 청년이다. 공구상가 사이에 멋들어진 카페들이 속속 들어서면서 '데이트 장소'로만 이곳을 찾던 젊은이들이 수제화(手製靴) 명맥 잇기에 도전하면서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1970년대 들어 수제화 업체들이 하나둘씩 공구상가가 있던 이곳에 모여들기 시작한 것이 성수 수제화의 시작이었다. 칼날을 쥐고 두꺼운 가죽과 신발 밑창을 오리고 박음질을 해야 하는 지난한 수제화 작업은 노동집약의 극치였다. 하지만 공장에서 찍어내는 기성품에 밀린 수제화는 갈 곳이 없었다. 공방엔 머리가 희끗희끗한 60~70대 제작자만이 남았다. 그랬던 이곳에 최근 몇 년 새 청년들이 수제화를 배우겠다며 몰려든 것이다.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제화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청년들이 가죽에 박음질을 하고 있다. 20주간에 걸친 심화 교육을 마치면 수제화 공방에도 취업할 수 있다. [사진 성동구]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제화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청년들이 가죽에 박음질을 하고 있다. 20주간에 걸친 심화 교육을 마치면 수제화 공방에도 취업할 수 있다. [사진 성동구]

바탕을 만든 건 성동구청이었다. 김범철 성동구 기업활성화팀장은 "공방을 지키는 60~70대 어르신 제작자들이 모두 은퇴하면 성수 수제화가 이러다 사라질 것이라는 위기감이 있었다"고 했다. 성동구는 수제화 장인에게 직접 배울 수 있는 청년 대상 수업을 열기 시작했다. 2016년 첫 교육을 했다. 일년에 두 차례 5~6개월씩 가르친다. 과정은 무료로, 10만원 정도인 재료비만 학생이 낸다. 지난해까지 졸업생은 100여 명에 이른다.

올해는 취업 연계도 시작한다. 심화반을 졸업한 청년이 원할 경우 수제화 공방 취업을 연결해주기로 했다. 인기도 높다. 센터 관계자는 "올해 30명 모집에 40명이 지원해 면접을 따로 볼 정도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고 말했다.

이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오윤구(31·남)씨는 수제화 공부 3년차 학생이다. 구두가 좋아 대학 졸업 후 수제화 제작의 길에 뛰어들었다. 그는 "교육을 마치고 제작자의 길을 가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학생들을 가르치는 정 명장은 "성수동에 가도 (수제화) 배울게 없다는 말이 나오지 않도록 시간을 내서 청년들을 가르치고 있다"고 강단에 선 이유를 털어놨다.

올해 서른살인 아톤슈즈의 대표 김기현(사진) 대표가 공방에 들여놓은 자세교정용 '협동로봇'을 작동하고 있다. [사진 성동구]

올해 서른살인 아톤슈즈의 대표 김기현(사진) 대표가 공방에 들여놓은 자세교정용 '협동로봇'을 작동하고 있다. [사진 성동구]

공방에도 변화가 일고 있다. 서울디지털재단은 지난 3월 수제화 공방에 3대의 '로봇'을 지원했다. 이 중 2대의 로봇을 공방에 들인 건 아톤슈즈의 김기현(30) 대표다. 그의 손 곳곳엔 작업 중 생긴 흉터가 있다. 두꺼운 깔창을 칼로 오리기 위해선 양 허벅지 사이에 끼고 자르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다 보니 칼날이 헛나가면 종종 큰 사고로 이어진다. 재단은 아이디어를 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협동 로봇'을 만들어 작업장의 사고 위험을 줄여보기로 했다. 한소영 디지털재단 기업협력팀 선임은 "수제화 특성을 잃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업자의 안전과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김 대표가 쓰고 있는 것은 작업자의 허리가 구부정하지 않도록 돕는 자세교정 로봇과 초음파로 가죽 밑창 등을 잘라주는 안전로봇이다. 김 대표는 태블릿PC처럼 생긴 조절판으로 작업 동선을 로봇에게 '가르쳐' 일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수제화 골목에서 뜻을 함께하는 청년사업가 10명과 조합도 만들었다. 이 로봇을 연말께 조합에 공유할 예정이다. "많은 사람이 로봇을 가지고 놀면서 쓰다 보면 좋은 아이디어도 나올 수 있지 않겠느냐"는 생각에서다. 김 대표는 "젊은 사람들이 성수동에 많이 놀러 오는데, 이제는 더 많은 젊은 층이 수제화를 배우러 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현예 기자 hykim@joongang.co.kr

'영혼' 담은 수제화 가치 알아주길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제화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청년들이 수제화2호 명장인 정영수 선생(오른쪽)으로부터 수제화 수업을 받고 있다. [사진 성동구]

지난 22일 서울 성동구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제화 교육과정에 참가하고 있는 청년들이 수제화2호 명장인 정영수 선생(오른쪽)으로부터 수제화 수업을 받고 있다. [사진 성동구]

정영수(65) 명장은 성동구에서 지정한 수제화 명장이다. 이름만 대면 알법한 '회장님'부터 해외 유명 인사까지 그에게 발을 맡긴다. 수제화를 배우기 시작한 건 20세 때의 일이다.

경북 칠곡이 고향인 그는 취직 시험 준비를 하려고 컴퓨터 학원을 알아보고 다녔다. 학원 옆 친구 가족이 하던 구두공방이 있어 종종 들렀다. "손재주가 좋으니 한번 배워봐라." 칭찬이 좋았다. 그렇게 공방을 드나들기 시작하면서 수제화에 눈을 떴다. 칠곡에서 이름을 날렸다. 그러던 어느 날, 신발회사인 '엘칸토'에서 일하던 지인이 "구두하려면 서울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도전이었다.

정 명장은 그길로 짐을 싸 서울로 갔다. 26살이었다. 당시엔 명동에 구두회사가 있었다. 이곳에서 수제화 명인들을 만났다. 당시 명동엔 '살롱'으로 불리는 수제화 가게들이 있었다. 그의 삶은 외국 신발회사로 이어졌다. 동양인에게 맞는 신발 설계를 해달라는 것이었다. 다시 한국 땅을 밟은 것은 20여 년 전이다. 같이 수제화를 했던 제작자들과 성수동에 연구소를 차렸다. 한국 수제화 전통을 만들어보자는 취지로 의기투합을 했다. 수제화 분야에서 국가명장으로 꼽히는 김영만 명장 등이 그와 함께 했다.

하지만 먹고 사는 길은 달랐다. 연구소만으로는 배가 고팠다. 2009년 사업자 등록을 하고 수제화 사업을 했다. 유명인들이 그에게 신발을 만들어달라고 찾아왔지만 갈증은 사라지지 않았다. 수제화 공방의 '주류'는 그와 같은 60대였다. 젊은 사람들이 찾아오질 않으니 '막내'로 불리는 사람들은 50대였다. '성수동에 가도 배울게 없더라'는 말이 들렸다.

그는 "젊은 사람들이 요즘 수제화를 배우고 싶어한다는데, 반듯하게 가르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아쉬움도 있었다. 일부에선 수제화를 한다고 했지만 돈 버는 데만 급급해 보였다. 그는 "좋은 신발을 만들어야 하는데 돈 버는 것만 생각하고 공방을 차리는 사람들이 있어 아쉬웠다"고 말했다. 정 명장은 "사람의 모든 직업이 마찬가지겠지만 영혼이 없으면 안 되지 않나"라며 "구두는 영혼 없이는 못 만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성수동이 맞춤 수제화 대표지역으로 변신하는데 기여하고 싶은 마음에 올해부터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고 했다. 정 명장은 "신발이든 마음이든 불편한 사람들이 언제든 찾아와 행복을 느낄 수 있고, 마음에 드는 신발을 만날 수 있느 성수동 수제화 거리가 됐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