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락녀 사회복귀 도울 시설 태부족

중앙일보

입력

10대 윤락여성에 대한 단속은 궁극적으로 사회복귀로 이어져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재활을 도와주는 사회 안전망은 전무한 실정. 우선 피폐된 몸과 마음이 재활을 가로막는 첫번째 관문이다.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이 최근 십대 여성의 향락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면담했던 J양(17) 은 "마약때문에 철창에 갇히고 병원까지 갔었지만 금단현상 때문에 미칠 것 같다" 고 호소했다.

담배와 술은 물론 습관성 약물을 단절했을 때의 금단현상, 그리고 각종 성병.임신.소화기 및 산부인과 질환까지도 이들을 괴롭힌다.

문제는 이들이 신분을 감추기 때문에 의료보험은커녕 의료보호에서도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점. 살레시오 노량진쉼터의 자원봉사자 이모씨는 "티켓다방에서 들어온 한 소녀는 입소하자마자 자궁물혹과 맹장수술을 했다" 며 "´재정이 어렵지만 ´병원비를 수녀회에서 지원할 수밖에 없었다" 고 말했다.

교육기회의 차단 역시 이들의 사회복귀를 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청소년개발원의 전경숙연구원은 "한번 향락산업에 빠지고 나면 후회를 해도 학교로 돌아갈 수 없다.

입시위주 교육과 나이를 중시하는 교육풍토,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가 적응하지 못하기 때문" 이라고 말한다.

가출청소년 등 문제학생을 위한 대안학교 역시 전국에 10개교로 20명 정원의 2~3개반을 운영하는 것이 전부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재활기관과 프로그램.

1999년 현재 이들을 계도하는 선도보호시설은 전국에 9개소. 수용인원 4백여명에 지원되는 예산도 19억에 불과하다.

마포에 있는 한 선도보호시설 사회복지사 이모씨는 "재활을 위해 정부가 지원해주는 돈은 월 인성프로그램비 1만5천원, 직업재활비 1만5천원이 전부´다.

미용기술만 해도 6개월동안 38만원이 들어가고, 시험에 떨어지면 다시 20여만원을 추가부담을 해야하기 때문에 미리 좌절하는 아이들이 많다´" 라고 말했다.

천편일률적인 프로그램과 재활교육이지만 그나마 교육의 질을 보장할 수 없다는 것이 현장 교사들의 지적이다.

아이들 뿐 아니라 재활을 맡고 있는 교사들조차 부족한 인력과 격무에 시달려 급기야 소명의식까지 버린 채 이직하는 사례도 많다. 현장파견.야간지도와 같은 응급상황 시 대처 능력은 전무하다는 것.

전연구원은 "10대 윤락여성의 재활은 어느 한 부분만 개선해서는 불가능하다. 낙후되고 통제적인 선도시설을 재정비하고, 민간단체에서 운영하는 청소년쉼터는 기능적으로 특성화해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특히 ´이들에게 중학교 과정을 위한 대안학교 설립과 국립병원 무료진찰 등 의료서비스를 제도화하는 것도 시급하다" 고 말했다.

고종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