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文, 수보회의 대신 금융수장 긴급간담회…“금융지원 신속성 중요”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6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예정에 없던 금융기관 수장들과의 간담회를 열었다. 당초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가 잡혀 있었지만, 이를 취소하고 잡은 일정이다. 앞서 두 차례의 비상경제회의를 통해 마련된 100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 프로그램 본격 시행을 앞두고 금융기관에 신속한 대출 등 협조를 구하기 위해서다.

문 대통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가장 먼저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을 하는 분들께서 대출을 받는 데 여전히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 부분을 좀 각별하게 챙겨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정부 대책에 따라 시행된 긴급 대출을 받기 위해 은행 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을 찾고 있지만, 대출이 쉽지 않다는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문 대통령은 “몰려드는 업무로 힘드시겠지만 당장 생계의 위협을 겪고 있는 분들을 위한 긴급 자금인 만큼 신속성이 특히 중요하다라는 점을 잘 이해해 주실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도 필요한 곳에 적시에 충분한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 코로나19의 충격으로부터 기업을 지켜내야 일자리를 지키고 국민의 삶을 지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 대통령은 원활한 금융 지원을 위해 일종의 면책 카드를 제시했다. 문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과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특별히 다른 고의가 없었다면 기관이나 개인에게 정부나 금융 당국이 책임을 묻는 일은 없을 것이다. 이 점을 분명히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금융산업 노사정 대표는 이날 오전 은행연합회에서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금융 노사정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금융지원 업무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주 52시간 초과근무를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내용 등이 선언문에 담겼다. 문 대통령은 “‘금융 노사정 공동선언’을 적극 지지하고, 함께해준 전국금융산업노조에도 깊이 감사드린다”고 했다.

이날 간담회엔 KB·신한·농협·하나·우리 5대 금융 지주 회장과 KDB산업은행·수출입은행·중소기업은행 등 3개 국책은행장,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 등 2개 보증기관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민간 금융기관과 정책 금융기관을 모두 아울러 대한민국 금융을 이끌고 계신 분들을 이렇게 한자리에서 뵙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그만큼 비상한 경제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6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기업·소상공인 긴급 금융지원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을 위해 마스크를 벗고 있다. [연합뉴스]

한 참석자는 문 대통령에게 “그 간 병목현상이 있었던 소상공인 긴급 경영자금을 신속히 집행하기 위해 퇴직 인력을 지원하거나, 보증기관과의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라 추가적인 금융 분야 대책이 필요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정 당국과 한국은행이 적극적인 지원을 해달라는 건의도 나왔다고 한다. 아울러 코로나19 이후 한국 경제의 도약을 위해 금융 분야에서 온라인·비대면(언택트 Untact)·벤처 측면에 투자를 확대하는 등 정부 차원에서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윤성민 기자 yoon.s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