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내막염

중앙일보

입력

1. 심내막염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건강한 사람도 치과 치료나 수술을 받을 경우 순간순간 세균이 혈액속으로 유입될 수 있으나 곧 걸러지고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그러나 비정상적인 심장판막조직이나 인공심장 판막 또는 기타 심장 구조에 이상이 있을 경우 혈액이 지나가면서 와류가 생길 수 있으며, 이 때 세균이 이상조직 부위에 들러 붙어 세균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렇게 심장조직에 자리잡은 세균은 세균집단을 이루어 지속적인 세균혈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심내막염은 누가 잘 걸리는가?

류마티스성 또는 기타 원인의 심장판막질환,인공심장판막을 삽입한 환자, 선천성 심장병(단, 심방중격 결손증의 경우에는 위험이 낮음)환자중에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3.심내막염의 증상은 무엇인가?

아급성 심내막염의 경우에는 독성이 약한 비용혈성 연쇄상구균에 의해 생기며, 대부분의 환자에게서 열과 오한이 날 수 있고 몸 전체가 욱신거립니다. 또한 기운이 없고 식욕이 감소되고 때로는 머리가 아프기도 합니다.
간혹 사지에 반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성 심내막염의 경우에는 독성이 강한 포도상구균이나 그람 음성균에 의해 생기며, 고열, 오한, 혈압강하 등 심한 증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4.심내막염은 어떻게 예방 가능한가?

적절한 항생제를 사용함으로써 예방이 가능합니다. 수술이나 처치시 부위 및 종류에 따라 항생제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항생제는 수술이나 처치를 받기 직전부터 시작하여 치료가 끝날 때까지 처방됩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필수적으로 항생제가 사용됩니다.
1.대부분의 치과 치료
2.소화기 및 비뇨기계 수술이나 상부기도에 대한 수술 및 검사
3.기타 화농성 병변

위와 같은 치과 치료나 처리를 받을 때 치과의사에게 자신의 심장상태에 대해 알려주십시오. 그러면 치과의사는 항생제를 처방할 것입니다. 매번 치료를 받을 때마다 심내막염의 위험이 있다는 것에 대해 말하십시오. 또한 소화기 및 비뇨기 계통의 수술이나 처치를 받을 때도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하므로 병원에 갈 때마다 의사에게 알려주십시오. 단 단순한 위내시경 검사의 경우에는 예방적 항생제 치료가 필요치 않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