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감염병 '심각' 단계…환자 75만명 발생한 11년 전 신종플루 때 딱 한번

중앙일보

입력

21일 오후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발생한 경북 청도군 청도대남병원에서 입원 중인 환자가 119 응급차를 타고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고 있다. [뉴스1]

21일 오후 국내 첫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가 발생한 경북 청도군 청도대남병원에서 입원 중인 환자가 119 응급차를 타고 다른 병원으로 이송되고 있다. [뉴스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지역사회 감염이 전방위적으로 나타나면서 정부의 감염병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까지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신규 환자도 대구·경북을 넘어 전국 단위로 발생하고 있다. 21일 오후 4시 기준 확진자는 204명이다.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당시 환자 수 186명을 넘어섰다.

감염병 위기경보는 '관심-주의-경계-심각' 4단계로 나뉜다. 현재 적용중인 감염병 위기경보는 '경계' 수준이다. 두번째로 높은 단계다. 코로나19처럼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이 제한적으로 전파될 경우에 해당된다.

국내 첫 의심 환자가 나온 지난달 8일 '관심' 단계가 됐고,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달 20일 '주의'로 올라갔다. 4번째 환자가 나온 지난달 27일엔 '경계'로 격상됐다. 3주가 채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세 단계가 올라간 것이다.

경계 수준에선 질병관리본부가 맡는 중앙방역대책본부, 보건복지부가 맡는 중앙사고수습본부가 각각 운영된다. 필요 시엔 국무총리 주재 범정부 회의가 열린다. 각 지자체와 협력해 방역 활동 등도 강화된다.

정부의 감염병 위기경보는 총 4단계로 운영된다. 현재는 두번째로 높은 '경계' 수준이다. [자료 질병관리본부]

정부의 감염병 위기경보는 총 4단계로 운영된다. 현재는 두번째로 높은 '경계' 수준이다. [자료 질병관리본부]

여기서 한 계단만 올라가면 빨간색으로 표현하는 '심각'이 된다. 국내 유입된 해외 신종감염병이 지역사회로 전파되거나 전국적으로 확산될 경우를 말한다. 보건당국이 손쓰기 어려운 '전국적 확산'에 방점이 찍혀 있는 것이다.

이 단계에선 감염병 퇴치를 위한 범정부적 총력 대응을 해야 한다. 필요할 경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마련된다. 책임자가 복지부 장관에서 국무총리로 바뀌는 것이다. 휴교나 항공기 운항 감편, 대중교통 운행 제한 등 강력한 조치도 적극 검토된다.

지역사회 감염이 현실화되고 부산·제주 등에서 새로운 환자가 나오면서 '심각' 상향 요청도 이어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감염병 대응 단계를 심각으로 격상하고 방역 전략을 수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대집 의협 회장은 “냉정하게 판단할 때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한 1차적인 방역이 실패했다”고 말했다. 정부 브리핑에서도 "심각 단계 상향을 검토하느냐"는 취재진 질문이 매일 쏟아지고 있다.

정세균 국무총리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왼쪽부터)이 21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코로나19 대응 관련 긴급 보고를 하기에 앞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정세균 국무총리와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왼쪽부터)이 21일 오전 청와대 여민관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코로나19 대응 관련 긴급 보고를 하기에 앞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다만 정부는 심각 상향에 신중한 편이다. 전국서 신규 환자가 나온 21일에도 위기경보 격상을 검토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왔다.

하지만 박능후 복지부 장관(중앙사고수습본부장)은 "지금은 어느 정도 통제가 가능한 전파 경로를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심각 단계까지 갈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경계 수준을 유지하되 심각 수준에 준해서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지금까지 심각 단계까지 간 적은 단 한번 뿐이다. 2009년 환자 75만명이 발생했던 신종플루 사태다. 그 해 8월부터 사망자가 나오기 시작하면서 11월 심각 단계로 상향 조정됐다.

당시 신종플루는 1000여개 학교에서 환자가 발생하는 등 전국적 확산 양상을 보였다. 38명의 사망자가 나왔던 2015년 메르스 사태는 '주의' 수준이었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