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센 주먹 최고'라던 北학부모, 이젠 자식 때린 교사 벌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제공]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 제공]

“아버지는 ‘못 이기겠으면 그냥 머리 까고 도망가라’고 말씀하셨어요.” (이희은, 양강도 출신, 90년대 초반 출생)  
“아빠 세대에는 주먹이 세다고 하면 좋아했어요.”(오지예, 함경북도 출신, 90년대 초반 출생) 

90년대생 탈북자들의 증언이다. ‘머리를 까거나 주먹을 쓰는 일’을 아버지의 입을 빌려 말하는 것이 ‘부모 세대’와 살짝 선을 긋는 느낌이다.

‘성공적인 통일을 만들어가는 사람들’(성통만사)가 27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살아남기 위해’ 폭력성이 높은 아이를 길러 왔던 북한의 부모들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성통만사는 지리·직업·사회적 성향 등을 따져 200여명의 탈북자를 인터뷰한 뒤 ‘북한 아동학대 보고서-벗어날 수 없는 폭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등장한 이름들은 모두 가명이지만 성통만사 측은 출생 시기와 출신지는 공개했다. 신원이 특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탈북한 시기는 공개하지 않았다.

물론 여전히 북한 사회에서 폭력은 만연한 상태다.수용소나 고아원에서는 고문이나 학대가 빈번하게 일어나기도 한다는 증언이 다수다. 성적 학대와 노동력 착취 등 북한 내에서 아동을 향한 폭력과 방임은 위험한 수준이다.

북한 부모도 '내 자식' 맞고 오면 '교사 처벌' 원해 

하지만 학교나 가정 등에서 조금씩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는 분석이 나왔다. 예를 들어 예전에는 교사의 체벌이 당연한 것이었지만, 북한도 2010년 이후로부터는 교사의 체벌에 대해 학부모들이 ‘반발’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고 한다.

교사였던 김학철씨는 “교사들 사이에서 아동을 때리지 말자는 이야기가 나왔으며, 몇몇 교사들은 실제로 아이를 때리고 난 후 자격이 박탈당했다”고 밝혔다. 함경북도 출신의 90년대 초반 출생 오지예씨도 “성적이 좋지 않았을 때는 맞기도 했지만, 친구들과 학교에서 같이 놀았던 좋은 기억이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변화에 대해 증언한 탈북자들은 폭력성이 낮아진 원인으로 ‘낮아진 출산율’을 언급했다. 성통만사는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기 때문에 부모들은 한 명 뿐인 귀중한 자신의 아이가 맞는 것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는다”라며 “부모들은 정부에 폭력을 사용하는 선생을 처벌해달라고 요구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2016년 기준 북한 출산율은 여성 1명당 1.19명으로 집계된다. 1980년 이후 출생 여성들의 출산율은 0.6~0.9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은행, 구글 제공]

2016년 기준 북한 출산율은 여성 1명당 1.19명으로 집계된다. 1980년 이후 출생 여성들의 출산율은 0.6~0.9명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은행, 구글 제공]

또 다른 이유로는 ‘남한 미디어의 영향’이 꼽혔다. 오씨는 “남한의 로맨틱 드라마를 보면서, 아이들이 드라마 속 인물들의 행동을 따라 하려고 하고 그 결과 폭력성이 감소됐다”며 “현재의 세대(90년대생 이후)는 과거 세대들과 달리 폭력이 구시대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여자 아이들도 힘 있는 아이들을 좋아한다. 당연하게 생각한다”는 80년대 중반 출생 박창식씨의 증언과도 90년대생 오씨의 증언은 결이 조금 다르다.

'돈 거래' 활발해지며 '만사 폭력 해결' 문화도 옅어져  

70년대 후반 출생 함경북도 출생의 한소영씨는 “90년대 후반 정부가 서서히 사람들 간 물질적 거래를 허용하면서 ‘돈의 중요성’이 커졌고, 그러면서 돈과 폭력의 문제가 얽히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전에는 폭력으로 대표되는 ‘강함’으로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는데, 이제는 돈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덜 폭력적인’ 사회로 변화했다는 뜻이다.

한씨는 “사람들은 다치거나 맞아 피해를 입은 경우 보상을 요구하기 시작했고, 그래서 점차 서로 싸우는 것을 피하고 있다”며 “시간이 지나며 점차 사람들이 모든 일을 해결하는 데 돈에 의존한다”고 말했다.

신체적 학대 경험, 출생연도 높을수록 줄어  

실제 성통만사의 설문 조사 결과 체벌에 대한 경험도 출생 연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히 낮아졌다. 성통만사가 출생 연도를 기준으로 시기를 나눴을 때 1949~1964년에 출생한 이들 중 70%의 응답자들이 신체적 학대를 경험해봤다고 답했다. 하지만 마지막 시기인 1997~2013년에 해당하는 응답자들 중에는 신체적 학대를 경험했다고 답한 비율이 19%로 줄었다.

신체적 학대를 경험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의 대답을 출생 연도별로 나눠 분석해 놓은 표. 출생연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학대를 경험해본 적이 있다는 답변이 낮아졌다. [성통만사 제공]

신체적 학대를 경험해본 적이 있냐는 질문에 대한 응답자의 대답을 출생 연도별로 나눠 분석해 놓은 표. 출생연도가 높을수록 신체적 학대를 경험해본 적이 있다는 답변이 낮아졌다. [성통만사 제공]

"단언컨대, 북한은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이는 일부의 변화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60년대 중반에 출생한 한철민씨는 “90년대와 2000년대 사이에 아무것도 바뀌지 않았다”고 단언했다.

관련기사

성통만사 측도 “증언들만이 주요한 정보 출처고, 개인적 상황에만 한정될 수 있기에 꼭 일반적 추세를 대표한다고 볼 수 없다”며 “북한에서 일어나는 대부분의 일들은 알려지지 않는 데다가 몇몇 탈북민들은 굉장히 폭력적인 경험을 진술하고 있기 때문에 이 변화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후연 기자 lee.hooy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