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감시할 중고도무인정찰기 사업 또 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국내 개발 중인 중고도 무인 정찰기(MUAV) 사업이 또 다시 연장됐다. 2017년 첫 시험평가가 계획된 뒤 3번째 지연으로 빨라야 2021년 양산이 가능해진 것이다. 고고도 무인 정찰기(HUAV) 글로벌호크 도입에 이어 MUAV까지 배치에 차질이 빚어지자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앞두고 정찰 자산 확보에 공을 들이는 군 당국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군, 전작권 전환 검증 앞두고 #“배치 더 늦어져선 안 된다”

27일 군 당국과 방위사업청 등에 따르면 지난 9월로 예정된 MUAV 개발 사업의 체계개발 완료 시점이 2020년 6월로 9개월 미뤄졌다. 지난 7월 시험평가 중 대기자료장치의 센서에서 문제가 발생하면서다. 군 소식통은 “악화된 기상에서 고도, 위치 등을 측정하는 센서가 제 성능을 발휘하지 못했다”며 “해당 문제를 대부분 해결했고 재비행시험을 위한 의결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2008년 논의가 시작된 MUAV 사업은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총 사업비 4884억원이 들어갔다. 군 내부에선 MUAV 배치가 더 늦어져선 안 된다는 목소리가 상당하다. 전작권 전환 검증 과정 때문이다. 한·미 양국은 ‘조건에 기초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데, MUAV 보유 여부는 이들 조건 중 감시정찰 자산 확보 영역과 직결된다. 정부 관계자는 “MUAV 사업은 전작권 전환을 염두에 두고 속도를 냈다”며 “현 정부 임기 내(2022년 5월) 전작권 전환을 완료한다는 목표와 무관치 않다. 현재 우리 군 정찰 작전 능력을 감안하면 MUAV를 가졌느냐, 안 가졌느냐는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MUAV는 10~12㎞ 상공에서 100㎞ 밖을 들여다보며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관련기사

특히 지난해 9·19 남북군사합의에 의하면 군사분계선(MDL) 기준 서부 10㎞, 동부 15㎞ 지역 안에서 정찰 무인기를 띄울 수 없다. 보유중인 군단급 등 무인 정찰기의 탐지거리가 20km 이내라는 점을 감안하면 비행금지구역 밖에서 MUAV의 정찰능력을 확보하는 게 더 시급해졌다는 의미다.

미국의 글로벌호크 도입이 미뤄지는 점도 군 당국으로선 부담스럽다. 지상 20㎞의 고도에서 약 200㎞ 탐지거리를 지닌 글로벌호크도 전작권 전환과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대비해 지난 5월 들여오기로 했지만 광학·열상(EO·IR) 센서 등 문제로 연내 도입으로 조정됐다. 방사청 관계자는 “군이 인도받기로 한 4대 모두 올해 받도록 미측과 협의 중”이라며 “내년 5월 안엔 글로벌호크 도입과 함께 영상판독 처리체계 구축까지 완료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