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륙 스케일' 중국 사투리, 도대체 몇 개야?

중앙일보

입력

차이나랩

차이나랩’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넓은 땅덩어리만큼 다양한 민족이 존재하는 중국은 방언 수도 많다.

중국의 방언은 도대체 몇 개일까?
관화(官话), 간어(赣语), 오어(吴语), 샹어(湘语), 객가화(客家话), 광둥어(奥语; 중국어 발음은 ‘위에어’), 민어(闽语)

중국의 방언 수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아직 없다. 민족과 지역에 따라 워낙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중국 방언 수를 키워드로 대표 검색 엔진 바이두에 검색하면 총 129종의 방언이 있다고 하는데 이 또한 공식 통계가 아니라 신뢰성이 떨어진다. 현대 중국의 방언 구분에 대해 중국 학계에서도 아직 완전히 일치된 의견을 얻지 못했다.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표 방언’을 총 7개로 알고 있으며 이를 ‘7대방언(七大方言)’이라 부른다. 이번 기회를 통해 중국 대표 '7대방언'에 대해 차이나랩과 간단히 알아보도록 한다.

[출처 셔터스톡]

[출처 셔터스톡]

관화(官话) 방언

약 13억 명이 사용, 대표 도시: 베이징

관화(官话) 사용 지역 [출처 바이두바이커]

관화(官话) 사용 지역 [출처 바이두바이커]

현재 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은 약 15 억 명이며, 그 중 70 %가 관화방언을 사용한다. 놀라운 점은 방언 속에 또 방언이 있다. 이것을 ‘차방언’이라 지칭하며, 베이징관화(北京官话), 둥베이관화(东北官话), 지루관화(冀鲁官话),쟈오라오관화(胶辽官话) 등 8가지 차방언이 있다. 관화방언을 사용하는 도시 중 가장 큰 곳은 수도로 자리잡은 베이징이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표준어에 가장 가까운 것은 ‘둥베이관화’이다. 베이징화는 ‘얼(儿)’ 발음이 문장 끝에 붙어 오히려 표준어와는 조금 거리가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오어(吴语) 방언

약 9천만 명이 사용, 대표 도시: 상하이

상하이를 비롯해 장쑤성(江苏省), 저장성(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 장시성(江西省), 푸졘성(福建省)에서 쓰이는 오어(吴语) [출처 바이두바이커]

상하이를 비롯해 장쑤성(江苏省), 저장성(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 장시성(江西省), 푸졘성(福建省)에서 쓰이는 오어(吴语) [출처 바이두바이커]

오어는 원래 BC5세기부터 문화의 중심지였던 쑤저우(苏州)에서 사용되었고, 상하이가 중요한 대도시권으로 된 명대에 중요성이 확대되었다고 알려졌다. 그래서 오어 방언은 고대 중국에서 사용되던 언어와 가장 비슷하다. 상하이를 비롯해 장쑤성(江苏省), 저장성(浙江省), 안후이성(安徽省), 장시성(江西省), 푸졘성(福建省)에서 쓰인다. 인구의 8% 이상이 오어를 사용하며, 사용 도시 중 가장 큰 곳은 상하이지만 최근 외지인의 급증으로 쑤저우 쪽으로 고유성이 기울고 있다.

오어 방언은 지역에 따라 북부방언, 남부방언, 서부방언으로 나뉜다. 또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일본의 규슈 등 해외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민어(闽语)

인구 약 7 천 5 백만 명이 사용, 대표 도시: 타이페이

민어(闽语) 사용 지역, 민어는 지역에 따라 민난방언(闽南方言), 민베이방언(闽北方言), 민둥방언(闽东方言), 민중방언(闽中方言), 푸셴방언(葡仙方言) 등으로 나뉜다 [출처 바이두바이커]

민어(闽语) 사용 지역, 민어는 지역에 따라 민난방언(闽南方言), 민베이방언(闽北方言), 민둥방언(闽东方言), 민중방언(闽中方言), 푸셴방언(葡仙方言) 등으로 나뉜다 [출처 바이두바이커]

민어 방언은 푸졘성, 타이완, 하이난과 광동 일부에서 사용하는데, 동남아시아로 이주한 중국인들이 많이 사용하기도 한다. 민어 방언은 ‘중국 고대 운율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은 중국 유일의 방언’이라 불릴 정도로 차이가 심하다. 민어 방언은 서양 문물이 들어오기 시장한 중구(中古), 19세기 중반까지인 진구(近古) 등 다양한 시기의 영향을 받아 옛 중국어와 비슷한 단어가 많다. 지역에 따라 민난방언(闽南方言), 민베이방언(闽北方言), 민둥방언(闽东方言), 민중방언(闽中方言), 푸셴방언(葡仙方言) 등 차방언으로 나뉜다.

위에어(粤语)

약 7-8천 명이 사용, 대표 도시: 홍콩

위에어(粤语) 사용 지역 [출처 소후닷컴]

위에어(粤语) 사용 지역 [출처 소후닷컴]

한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는 광둥(广东)어로 알려져 있는데, 해외에 거주하는 광동인 수가 가장 많기 때문이다. 광둥(广东), 광서(广西), 하이난(海南), 홍콩(香港), 마카오(澳门) 등 중국 남부 지역에서 주로 사용한다. 우리는 홍콩 액션이나 로맨스 영화를 통해 많이 접해왔다. 위에어 방언의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4성조와 달리 무려 9가지의 성조가 있어 통통 튀는 느낌을 받는다. 앞서 말한 오어(吴语) 방언과 함께 고대 중국어와 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위에어를 사용하는 중국 내 지역은 다른 방언에 비해 넓지 않다고 느낄 수 있지만, 해외로 가면 이야기가 다르다. 해외에 거주하는 위에어 사용 중국인의 수는 무시하지 못할 정도라 호주에서 4번째, 미국과 캐나다에서 3번째, 뉴질랜드에서 2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90년대 홍콩영화 '중경삼림(重慶森林)'; 한국에서도 80-90년대 홍콩영화가 큰 인기를 얻어 위에어를 많이 접하는 기회가 되었다. [출처 소후닷컴]

90년대 홍콩영화 '중경삼림(重慶森林)'; 한국에서도 80-90년대 홍콩영화가 큰 인기를 얻어 위에어를 많이 접하는 기회가 되었다. [출처 소후닷컴]

간어(赣语) 방언

약 5 천5백만 명의 인구가 사용, 대표 도시: 난창(南昌)

간어(赣语) 사용 지역 [출처 바이두바이커]

간어(赣语) 사용 지역 [출처 바이두바이커]

간어 방언은 진나라가 중국 통일을 이룰 당시에 동쪽 사람들이 서쪽으로 이동하여 새롭게 생겨난 방언인데, 장시(江西)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어 ‘장시화(江西话)’라고도 불린다. 간어 방언은 약 5천 5백만 명이 사용하며 장시성(江西省), 후난성(湖南省), 후베이성(湖北省) 남동부, 안후이성(安徽省) 남서부, 푸졘성(福建省) 북서부 쪽에서 많이 사용한다. 단어에 따라서 4~7개의 성조가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간어 방언을 대표하는 차방언 중 하나인 난창화(南昌话)에는 자음이 19개가 있으며, 운모는 67개로 그 수가 어마어마하다.

커쟈화(客家话) 방언

약 5 천만 명의 인구가 사용, 대표 도시: 메이저우(梅州)

커쟈화(客家话)는 광둥성(广东省) 동부, 푸졘성(福建省), 광서성(广西省) 및 대만(台湾) 서북부 지역 등에서 사용한다 [출처 바이두바이커]

커쟈화(客家话)는 광둥성(广东省) 동부, 푸졘성(福建省), 광서성(广西省) 및 대만(台湾) 서북부 지역 등에서 사용한다 [출처 바이두바이커]

커쟈화는 광둥성(广东省) 동부, 푸졘성(福建省), 광서성(广西省) 및 대만(台湾) 서북부 지역 등에서 사용된다. 가장 오래되었다 보니 노인들이 주로 사용한다. 커쟈화는 ‘b’발음을 ‘p’발음으로 하고, ‘g’발음은 ‘k’발음으로 조금 강하게 한다는 특징이 있다.

샹어(湘语)

약 4 천5백만 명 사용, 대표 도시: 창사(长沙)

샹어(湘语)는 중국 내 사용 지역은 좁지만 세계에서 33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방언이다 [출처 바이두바이커]

샹어(湘语)는 중국 내 사용 지역은 좁지만 세계에서 33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방언이다 [출처 바이두바이커]

샹어 방언은 중국 7대방언 중 사용 인구가 4500만명으로 비교적으로 적고, 사용되는 지역도 가장 좁다. 한족의 소수인 4%만이 사용하지만 중국의 인구가 워낙 많다 보니 세계에서는 33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말이다. 주로 후난성(湖南省)*에서 사용되며, 지역적 차이가 크게 없어 상대적으로 서로 알아듣기 쉽다고 한다. 샹어를 사용하는 지역 중 규모가 가장 큰 도시는 창사(长沙)이다.

*후난성(湖南省)은 약칭하여 '샹[湘]'이라고 부르며, 성도(省都)는 '창사(长沙)'이다.

 창사(长沙) 특산 자수 제품, 샹시우(湘绣) [출처 바이두바이커]

창사(长沙) 특산 자수 제품, 샹시우(湘绣) [출처 바이두바이커]

많아도 너무 많아, 다 셀 수 없어...

앞서 말했듯이 아직까지 중국의 모든 지역 방언을 완전히 구분할 수 있는 공식 구분 방법은 없다. 위에서 설명한 주요 방언 외에도 소수의 인원이 사용하는 방언이 많이 존재한다. 이들 방언을 구분하기 어려운 이유는 주로 ▲특수성 때문이며, 또다른 이유로 ▲정보와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같은 방언이라도 아주 사소한 차이로 다르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의사소통을 위해 보통화(普通话)를 표준어로 삼고 있다.

표준어는 ‘공통으로 쓰이는 언어’이기 때문에 공식 자리에서는 소통의 편리함이 돋보이지만 중국특색의 방언 역시 고유의 가치가 존재한다. 지역적 특색과 소수민족의 특징을 반영한 방언 문화도 중국에서 보존해야 할 고유 문화로 존중 받으며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글 차이나랩 이주리에디터

차이나랩

차이나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