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8년뒤 인구 1위 中 아닌 인도···'세계의 공장' 자리도 꿰찬다

중앙일보

입력

뭄바이 등 인도 대도시는 노후한 열차에 매달려 이동하려는 승객들이 몰려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질 않는다. [사진 힌두스탄타임즈]

뭄바이 등 인도 대도시는 노후한 열차에 매달려 이동하려는 승객들이 몰려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질 않는다. [사진 힌두스탄타임즈]

오는 2027년이면 인도가 중국을 넘어 세계 1위 인구 대국 자리에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통계 한스푼]

UN의 ‘2019년 세계 인구 전망’(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인구는 14억3378만명, 인도는 13억6642만명으로 양국 간 인구 격차는 6737만명까지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8년 후인 2027년이면 인도의 인구는 14억6934만명, 중국은 14억6180만명으로 인도가 중국을 역전한다. 인도의 출산율은 2.33명(2016년 기준)으로 여전히 2명 이상이 유지되고 있는 데 반해, 중국은 미국(1.80명)보다 낮은 1.62명까지 떨어진 여파다.

보고서는 또 2036년에는 인도와 중국의 인구 격차가 1억명 이상으로 벌어진 뒤, 2058년에는 3억명 이상으로 격차가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인도 인구는 2059년 16억5135만명까지 계속 증가하는 반면, 중국 인구는 2031년 14억6442만명을 정점으로 계속 줄어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0년부터 지금까지 중국과 인도는 세계 1위ㆍ2위 인구 대국의 자리를 놓지 않았다. 1970년부터 1995년까지 양국의 인구 격차는 2억7000만~3억명 사이를 계속 유지해왔다. 양국의 인구 격차는 1996년 2억6000만명대로 떨어지더니 2004년에는 1억명대, 2015년에는 1억명대 아래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는 양국의 인구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1969년 인구 8억명을 돌파한 중국은 1979년 '1가구 1자녀' 정책을 시행하면서 출산율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사회적으로는 낙태를 방조하는 분위기가 만연하고,  인구조사에 기록되지 않는 ‘무호적자’ 문제가 생기는 부작용이 나오긴 했다. 그러나 아이를 둘 이상 낳으면 연소득의 최고 6배의 벌금을 내야 하는 부담에 부부들은 애 낳기를 주저했다. 이 때문에 중국에선 자녀 수가 부의 척도, 부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적어도  ‘1가구 1자녀 정책’이 인구 증가를 억제하는 데 있어서는 효과를 봤다는 얘기다. 중국 정부는 산아제한 정책으로 4억명의 출생을 억제했다는 통계를 내놓기도 했다.

인도도 1970년대 인디라 간디 총리 재임 동안 강력한 산아제한정책을 편 적이 있다. 일부 공무원과 경찰들은 할당 실적을 채우기 위해 자녀를 두 명 이상 둔 남성들에게 강제로 정관수술을 시켰고, 여성들에게는 불임수술을 하게 했다. 그러나 이런 무리한 가족계획 정책에 대한 반감 탓인지 인디라 간디 총리가 이끄는 인도국민회의는 1977년 총선에서 대패하며 권력을 잃었다. 이후 인도 정부에서는 인구 억제책을 금기시했고, 일반인들도 가족계획에 거부감을 갖게 됐다.

똑같은 인구 대국이지만, 현재 중국과 인도의 상황은 전혀 다르다. 중국은 1가구 1자녀 정책을 폐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은 계속 하락세다. 한 해 태어나는 아기도 2016년 1786만명, 2017년 1723만명, 지난해 1523만명으로 내리막을 걷고 있다. 한국 인구의 28배나 되는 인구를 가진 중국에 ‘인구 부족’이란 단어가 어울리진 않지만, 지금 중국은 고령화 기로에 접어들면서 노동인구 부족 사태가 나타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비해 인도는 여전히 무서운 속도로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고령화 추세에 접어들고 있는 중국과 달리 청년층 인구 비중이 높다 보니 2020년대에는 중국에 이어 ‘세계의 공장’ 지위를 물려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문제는 이런 폭발적 인구 증가가 빈곤ㆍ질병ㆍ환경오염ㆍ식량부족ㆍ환경파괴 문제 등을 일으킨다는 점이다. 인구의 유동성 증대로 인한 다수 인구의 도시 집중은 주택난과 실업자 증가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에 인도에서는 다시 산아제한을 본격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8월에는 인도 국회의원 125명이 공동으로 자녀 수를 제한하는 정책 도입을 고려해달라는 서한을 정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한편 통계청이 UN 보고서를 재분석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세계인구는 올해 77억1000만명에서 2067년이 되면 103억80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로는 아시아 인구 비중은 올해 59.7%(약 46억명)에서 2067년 50.5%(52억4000만명)로 낮아진다. 유럽(9.7%→6.5%), 라틴아메리카(8.4%→7.3%), 북아메리카(4.8%→4.3%) 비중도 떨어진다. 한국의 인구는 2067년 3900만명으로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7%에서 0.4%로 감소한다. 남북한 통합 인구(6500만명)가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에서 0.6%로 떨어진다.

다만 아프리카 인구 비중만 17.0%(13억1000만명)에서 30.7%(31억9000만명)로 높아지는 것으로 추산됐다. 2067년에는 인도(16억4000만명), 중국(12억8000만명), 나이지리아(5억2800만명), 미국(4억명) 순서로 인구가 많을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세계 3위 인구 대국인 미국이 나이지리아에 밀려 4위로 떨어지는 것도 특징이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