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원 등 학교비정규직 총파업 D-1…돌봄·급식대란 현실화되나

중앙일보

입력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가 지난 1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 중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가 지난 1일 오전 청와대 앞에서 총파업 선포 기자회견 중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급식조리원·돌봄전담사·교무행정사 등이 포함된 전국 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 총파업이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교육당국이 노조와 막판 협상을 벌인다. 교육당국은 협상이 결렬돼 연대회의가 파업에 돌입할 것을 대비해 대체급식이나 단축수업 등의 대책도 마련했다. 하지만 학부모들 사이에서는 “어른들 싸움에 왜 항상 아이들이 희생양이 돼야 하느냐”고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2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육당국과 연대회의 실무교섭단은 이날 오후 서울 서초구에서 만나 협상을 진행한다. 이는 전날 교육부 차관 주재로 이뤄진 17개 시·도교육청 부교육감 회의에서 연대회의 측에 긴급협상을 제안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뤄졌다. 교육부 관계자는 “아직 협상 전이라 타결 가능성 등은 예측할 수 없지만, 파업 규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노사 간의 임금 인상에 대한 의견이 달라 견해차를 좁히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학교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전 직종 기본급의 평균 6.24%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9급 공무원의 80% 수준까지 임금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교육당국은 7차례에 걸쳐 실무협의를 벌인 끝에 ‘기본급의 1.8%’만 인상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노조는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반발한 상태다.

연대회의가 총파업에 돌입할 경우 규모는 예전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연대회의 조합원은 전체 학교비정규직 노동자(14만20000여명)의 66%인 9만5000여명이다. 2년 전보다 2만여명 늘어났다. 이번 파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5만여명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열린 시도 부교육감 회의에서 급식·돌봄 등 학교 비정규직 노조 파업 대책 마련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백범 교육부 차관이 1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열린 시도 부교육감 회의에서 급식·돌봄 등 학교 비정규직 노조 파업 대책 마련 등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급식조리원·돌봄전담사 등도 파업에 참여하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서의 급식·돌봄 대란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지금보다 조합원이 적었던 2017년 6월 총파업 때도 전국 1만2518개 국공립 초·중·고 가운데 1929곳의 급식이 중단됐다. 올해 파업 규모가 커지면 급식 중단 학교 수도 예전보다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교육당국은 총파업이 진행될 경우에 대비해 대응책을 마련했다. 급식은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직원을 동원해 정상운영을 위해 노력하고, 불가피한 경우 학교에서 도시락·김밥·빵·떡 등과 같은 대체 급식을 제공한다. 학교 여건에 따라 개인별 도시락을 지참하게 하거나 단축수업 등 학사운영 조정도 가능하도록 할 예정이다.

초등학교 돌봄교실 관련해선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 인력을 활용해 차질 없이 운영하겠다는 계획이다. 또 사전에 학교에서 가정통신문을 보내 평소보다 일찍 귀가할 수 있는 학생 수를 파악할 방침이다.

학부모들은 당장 파업을 하루 앞두고 ‘돌봄·급식공백’에 대한 우려가 크다. 초등학교 4학년 아들과 6살 딸을 둔 직장인 김모(40·서울 송파구)씨는 “파업 때 아이를 어디에 맡겨야 할지 걱정돼 지난 주말 내내 제대로 쉬지 못했다”며 “빵이나 떡으로 식사를 대체하는 것도 문제지만, 회사를 쉴 수 없는 상황이라 단축수업 할까 봐 가장 걱정된다”고 털어놨다. 초1, 6살 자녀를 둔 이모(36·서울 은평구)씨는 “한유총 사태 때문에 가슴 졸인 게 엊그제 같은데 반년도 안 돼서 왜 또 이런 일이 생기는 건지 모르겠다”며 “아이를 볼모로 삼은 집단행동은 어떤 이유에서든 용납해선 안 된다”고 비판했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