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혈증 약 먹었는데,심장병 위험이 41%나 줄어드네

중앙일보

입력

[중앙포토]

[중앙포토]

75세 이상 노인이 고지혈증 치료제를 복용하면 심혈관계질환 위험과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상학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 연구팀은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을 먹은 75세 이상 노인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심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41% 낮고, 사망률도 44% 낮았다고 14일 밝혔다.

세브란스 이상학 교수, 75세 이상 대상 연구 #스타틴 복용후 심혈관질환 노출위험 41%↓ #"75세 이상 고지혈증약 복용 필요성 근거"

연구팀은 2005∼2016년 세브란스병원을 방문한 환자 중 심혈관질환이 없는 75세 이상 1278명을 대상으로 고지혈증 치료제인 스타틴 복용 여부에 따른 건강상태를 비교했다. 대상자를 스타틴을 정기적으로 먹은 그룹(639명)과 복용하지 않은 그룹(639명)으로 나누고 5년 2개월간 추적 관찰했다. 이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과 사망률을 100명이 1년간 위험에 노출될 비율로 분석했다.

75세 이상 노인이 스타틴 복용을 함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률과 사망률 감소 그래프.[자료 : 세브란스병원]

75세 이상 노인이 스타틴 복용을 함에 따른 심혈관질환 발생률과 사망률 감소 그래프.[자료 : 세브란스병원]

그 결과 스타틴 복용자의 경우 심근경색증·뇌졸중 등 주요 심장혈관·뇌혈관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1.25회로 미복용자(2.15회)보다 약 41% 낮았다. 사망률 역시 스타틴 복용자의 경우 0.65회로 미복용자(1.19회)보다 약 44% 낮았다. 스타틴을 복용한 노인은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 낮아지고, 심근경색증이나 관상동맥 질환 발생률도 낮았다.

그동안 스타틴은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심장마비 등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75세 이상 노인이 복용했을 때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가 부족했는데 이번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상학 교수는 “노인 인구가 급증하면서 심혈관질환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75세 이상 고령이라도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적극적으로 고지혈증 치료제를 복용할 필요가 있다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학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승호 기자 wonderman@joongang.co.kr

이상학 세브란스병원 교수. [사진 세브란스병원]

이상학 세브란스병원 교수. [사진 세브란스병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