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민주당 원내대표 경선 이변 벌어질까…국정기조 변화 분수령

중앙일보

입력

5월 8일로 예정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나서는 의원들. 왼쪽부터 김태년ㆍ노웅래ㆍ이인영 의원 [중앙포토]

5월 8일로 예정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나서는 의원들. 왼쪽부터 김태년ㆍ노웅래ㆍ이인영 의원 [중앙포토]

4·3 재보선이 끝나자마자 여권의 시선이 한달 앞으로 다가 온 더불어민주당 차기 원내대표 경선(5월8일)으로 쏠리고 있다.

민주당 원내대표는 여당의 ‘넘버 투’로 주로 입법ㆍ예산 및 대(對) 야당 전략을 짠다. 특히 여당 원내대표는 당정 협의 등을 통해 행정부에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이 막강해 권력의 노른자위로 꼽힌다.

그런데 이번엔 원내대표 경선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내년 총선을 지휘할 여당의 지휘부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선출되는 원내대표는 당장 공천 과정에서부터 일정한 목소리를 낼 수 있다. 그래서 평소보다 여당 내 ‘플레이어’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구도는 3파전이다. 각각 수도권의 3선 중진인 김태년ㆍ노웅래ㆍ이인영(가나다순) 의원이 저마다 출사표를 던지고 물밑에서 표를 다지는 중이다. 요즘 세 의원의 저녁 스케줄은 꽉 차 있다고 한다. 민주당 관계자는 “고시 공부할 때도 회독(回讀·여러번 읽음)을 하지 않나. 그처럼 후보자들이 이미 한 차례 이상씩 유권자들인 의원들을 두루 만나 한 표를 어필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여권의 얘기를 종합하면 현 구도는 ‘친문 핵심 중심의 김태년 VS. 86그룹ㆍ더좋은미래 등 개혁파 중심의 이인영 VS. 중도 비주류 중진 중심의 노웅래’로 요약된다. 판세는 “김태년과 이인영 양강 구도에 노웅래가 다크호스”라고 한다. 원내대표 선거는 1차때 과반 득표자가 나오면 그걸로 끝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상위 두 명이 결선 투표를 벌인다. 현재 민주당 소속 의원이 128명이니 64표를 얻으면 1차 투표로 끝난다.

김태년 의원은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부터 올 초까지 당 정책위의장을 지낸 ‘친문 핵심’이다. 지난해 6월 전당대회 때 이긴 이해찬 대표가 승리 직후 “정책위의장은 김 의원에게 계속 맡기겠다”고 밝혔을 만큼 당 주류의 신뢰가 깊다. 김 의원은 “일을 오래 한 만큼 업무 추진력과 이해도 등에 대한 의문부호는 없는 것 같다. 내년 총선관리가 관건인데, 당이 중심이 되기 위해서라도 청와대와의 신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에게 친문 핵심이란 꼬리표는 득(得)이자 실(失)이다. 익명을 원한 한 수도권 의원은 “김 의원이 정책위의장을 하면서 돌파력을 발휘했지만, 그 못잖게 ‘꽃길만 걸었다’는 이미지도 있다”고 전했다.

이인영 의원은 주변의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ㆍ더좋은미래 같은 비문(非文) 개혁 그룹에 속한 의원들이 출마를 권유했다고 한다. 연초에 통일부 장관 후보로도 거론됐지만, 그는 비교적 일찍 원내대표 출마로 마음을 굳혔다. 이 의원은 “출마 여부를 고심할 때 ‘86세대가 나라를 망치고 있다’는 식의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의 말을 듣고 가만히 있어선 안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당내를 향해선 “문재인 정부의 실패는 곧 민주당의 실패다. 당청은 한 몸이다. 그러나 그 못잖게 특정 세력의 패권이 아닌 통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에 대해 영남권의 한 의원은 “순수성과 열의는 인정하지만, 최고위원 외에 이렇다 할 경험이 없다는 게 약점”이라고 평가했다.

노웅래 의원은 이번에만 세 번째 원내대표 도전이다. 2017년엔 우원식 의원과, 2018년엔 홍영표 의원과 붙어서 졌다. 민주당 관계자는 “세 번째 도전이라는 점은 역설적으로 ‘이제는 할 만하다’는 정서를 일으키는 측면이 있다. 두 후보에 비해 색채가 엷어 다크호스로 부상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정치권에선 여당 원내대표 경선이 여당에 대한 청와대의 장악력을 보여주는 지표라는게 통설이다. 청와대의 영향력이 큰 경우엔 무난하게 주류 후보가 당선되지만 그렇지 못하면 주류 후보가 고전끝에 신승하거나 심지어 비주류가 당선되는 경우도 있었다. 4·3 재보선 이후 여권 전체에 위기감이 퍼지는 상황이어서 이번 경선에서 민주당 의원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에 따라 내년 총선때까지의 국정 기조가 상당히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권호 기자 gnom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