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강아지풀』관념적 표현 배제시켜야|『우 정 은』잔잔한 흐름 전달력 약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우리는 일찍이 문화민족임을 자처해 왔고, 또 그만큼 훌륭한 문화를 이룬 것도 사실이다. 바로 그 문화의 뿌리는 시 정신이며 우리 시의 정신적 고향이 시조인 것이다. 적어도 이 땅에 사는 문화인이라면 우리의 민족시인시조 한 수쯤은 짓고 읊조릴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강진형의『임진강에서』는 분단된 조국의 현실을 노래한 비가다. 새들은 자유로이 철조망을, 강물을 넘나들지만 내 땅 내 조국을 가까이 두고도 오갈 수 없는 이 막막한 현실 속에 타오르는 통일의 염원을 절실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지면 관계로 3수 중 제2수를 택했지만 작자는 왜 제2수만을 뽑았는가를 곰곰 생각해 주기 바란다.
정광영의『강아지풀』은 현실적 상황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맑은 감성의 서정성을 띤 깔끔한 시조다. 습작기에는 많은 작품을 대하게 되겠지만 그것을 자기 것으로 완전히 소화해야 하고, 중장의「사람들이…」와 같은 관념적인 표현은 배제해야 한다.
김금선의『우정은』은 잔잔하게 흐르면서도 오랜 우정을 수놓아 틀을 끼운 작품이다. 우정의 액자라고나 할까. 잔잔하고 차분한 만큼 전달력이 약하다.
김덕율의『계란』은 예리한 눈(심안)을 가진 작자임을 느끼게 한다. 한 생명의 탄생, 그 직전의 혼돈상과 어둠으로 표현된 현상의 이중구조 위에 원초적 생명의 탄생과 현세에서의 다시 태어남을 준비하는 꿈과 날개 짓이 성실한 삶의 태도로서 깊은 감동을 주는 시조라 하겠다. 김제현<시조시인·장안대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