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반기문에게 중국발 미세먼지 해결사 요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전국에 약하게 눈·비가 내리고 수도권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마스크와 우산을 쓴 한 시민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전국에 약하게 눈·비가 내리고 수도권에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령된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마스크와 우산을 쓴 한 시민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중국과의 외교 문제가 될 조짐을 보이는 미세먼지 문제의 ‘해결사’로 반기문 카드를 꺼내들어 정치권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손학규 제안 미세먼지 대책 수용 #반기문 측근 “정부 취지에 동감” #국회 주변선 ‘정치적 역할’ 예측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이 브루나이 현지에서 김수현 정책실장으로부터 미세먼지 관련 대책을 보고받은 뒤, 손학규 대표와 바른미래당이 제안한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범국가적 기구 구성’을 적극 수용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는 지난 8일과 11일 잇따라 “장기적으로 구체적이며 글로벌한 차원의 미세먼지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며 “국회와 정부, 사회 각 계층이 참여하는 범사회적 기구를 구성하자. 위원장에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적임자”라고 밝혔다.

반기문. [뉴시스]

반기문. [뉴시스]

관련기사

이에 대해 반 전 총장의 한 측근은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주말께 청와대에서 연락이 왔고, 반 전 총장도 미세먼지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기 때문에 정부가 말하는 해결 필요성의 취지에는 동감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반 전 총장은 프랑스에 출장 중인데 이번 주말에 귀국하면 정부의 구상을 직접 들어보고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지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정부의 미세먼지 컨트롤타워는 국무총리실에 설치된 미세먼지특별위원회가 맡고 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반 전 총장에게 새로운 기구의 수장을 제안하면서 기존 특위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지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과 반 전 총장은 2017년 대선 때 한때 경쟁 관계였다. 탄핵정국에서 김무성 의원을 중심으로 한 당시 새누리당 탈당그룹은 반 전 총장을 차기 주자로 밀었으나 더불어민주당의 강력한 견제가 시작되자 반 전 총장은 귀국 20일 만에 대선 출마를 포기했다. 다만 반 전 총장은 문재인 정부 출범 후에는 문 대통령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반 전 총장은 대선 직후이던 2017년 5월 18일 문 대통령에게 당선 축하 전화를 했었다. 그리고 그해 6월 2일 청와대에서 70분간 면담을 하기도 했다. 당시는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를 놓고 중국과의 외교 마찰이 극에 달했던 시점이다.

문 대통령은 당시 반 전 총장에게 “국내 정치는 소통으로 풀면 되지만 외교가 걱정”이라며 “반 전 총장의 경험과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반 전 총장은 “외교는 상대방이 있으니 밸런스를 맞추는 게 중요하다” “한·미 동맹이 (모든 외교의) 초석이라는 인식이 중요하다”는 등의 조언을 했다. 문 대통령은 그해 9월 11일 유엔 총회 참석을 앞두고 있던 시점에도 반 전 총장을 청와대로 초청했다. 당시 반 전 총장은 문 대통령에게 “유엔 사무총장 재직 경험이 국익 증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지고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회 주변에선 반 전 총장이 미세먼지 범국가기구 참여를 계기로 정치적 역할을 떠맡을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강태화·성지원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