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북 강경모드로 워싱턴 대동단결…공화·민주당 이어 폼페이오도 동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폼페이오. [AP]

폼페이오. [AP]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로 끝난 뒤 미국 정치권과 행정부는 대북제재 완화에 더욱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지난 5~6일(현지시간) 워싱턴 현지에서 복수의 의원 및 의회 관계자, 국무부·백악관 당국자들을 두루 만난 소식통은 7일 “행정부뿐 아니라 의회까지 북한 강경 모드로 대동단결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워싱턴 소식통 현지 분위기 전해

그는 한국 정부가 금강산 관광 재개 및 개성공단 재가동 등을 언급하는 데 워싱턴엔 불편한 기류가 선명했다고 전했다. 소식통은 “의회 관계자들을 만났더니 ‘문재인 대통령과 한국 정부가 자꾸 금강산·개성공단 등 제재 완화를 거론하는 의도가 뭔가’라고 묻더라”며 “일부는 ‘농담 아니냐’는 시니컬한 반응도 보였다”고 전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지지세력 결집 등 국내 정치적 이유로 그러는 것이냐’는 질문도 있었다”며 “대북제재는 북한이 진정한 비핵화를 하기 전까지는 불가능하다는 기류가 분명했다”고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던진 비핵화 빅딜 안을 북한이 받지 않는다면 3차 정상회담은 어려울 수 있으며, 공은 북한에 넘어갔다는 주장까지 나왔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국무부 등 행정부 인사들도 비슷한 기류였다고 한다. 대화파로 분류됐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역시 대북제재 완화는 비핵화 없이 고려할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임을 주변에 분명히 했다고 한다. 그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현재 일종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정치적 야심이 큰 폼페이오 장관으로서는 대북 강경론을 펴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북한이 이 기류를 잘 읽어야 한다”고 말했다.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지난 5일 상원 외교위원회에 비공개로 브리핑을 한 뒤에도 상원 의원들의 대북 강경 입장은 더 강화됐다고 한다. 공화당 소속 코리 가드너 상원 외교위 동아시아ㆍ태평양 소위원장은 “비핵화 없이는 북·미간 관계 정상화도 없다”며 “북한에 대한 최대한의 압박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간 온도 차는 개성공단 방북 문제로 인해 수면 위로 드러날 수도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 신청과 관련해 “관계부처 및 북·미와 협의가 필요하다”며 “아직 본격적으로 논의된 사항은 아니고 계기별로 미국과의 이해 과정과 협의 등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이 문제를 논의할 공식 채널인 한·미 워킹그룹은 현재로선 가동 시점이 불투명하다.

전수진 기자 chun.s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