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파업예고 민노총 만난 이해찬 한숨 "경제 많이 어려운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25일 ‘11월 총파업’을 선언한 민주노총 지도부에 ‘아쉬운 소리’를 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김명환 위원장 등 민주노총 지도부와 만났다. 이 대표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있겠지만, (민노총이) 총파업에 돌입한다는 얘기를 들어서 걱정이 많다”면서 “경제가 많이 어려운데 노동 쪽에서 총파업한다니까 오히려 우려하는 목소리가 더 커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적폐청산·노조할 권리·사회대개혁을 위한 11월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 변선구 기자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왼쪽)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적폐청산·노조할 권리·사회대개혁을 위한 11월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 변선구 기자

앞서 민노총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적폐 청산, 노조 할 권리, 사회 대개혁을 위한 11월 총파업 총력 투쟁 돌입을 선포한다. 11월 한 달을 관통하는 완강한 투쟁으로, 11월 21일 전 조직이 참여하는 총파업 투쟁을 반드시 성사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총파업의 주요 이유는 ‘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 후퇴와 규제 완화 등 친(親)기업 정책 추진’ 등이다.

민노총이 현 정부·여당의 정책에 정면으로 맞선 탓에 이날 양측의 간담회는 미묘한 신경전 속에서 진행됐다. 김 위원장은 “이해찬 대표가 ‘민주당 20년 집권’을 말하는데, 무엇을 위한, 누구를 위한 집권이냐가 중요하다”며 정부의 탄력근로제 확대 방안과 최저임금법 개정 등에 대해 유감을 표시했다. 그는 이어 “이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가 정확한 판단을 통해서 중심을 잡아주길 요청한다” “‘촛불정부’로써 촛불혁명이 요구하는 시대적 과제가 무엇인지 민주노총과 진지하게 고민하고 의견을 나눌 것을 부탁한다” 등의 발언을 이어갔다. ‘집토끼(민주당 지지층)를 잊지 말라’는 의미로 풀이되는 발언이었다.

이날 참석자들에 따르면 이어진 비공개 간담회에서도 ‘불편한’ 분위기가 이어졌다. 이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지도부는 민노총의 총파업 계획에 비판적인 입장을 여러 차례 전달했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민노총 관계자들에게 ‘사회적 대타협으로 풀어야 노동계 현안이 제도권 안에서 입법 과제로 다뤄질 수 있고, 그런 과정이 없으면 야당에 반대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취지를 전달했다”고 말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났다. 이 대표(왼쪽)가 발언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적폐청산·노조할 권리·사회대개혁을 위한 11월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 변선구 기자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을 만났다. 이 대표(왼쪽)가 발언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전 '적폐청산·노조할 권리·사회대개혁을 위한 11월 총파업 돌입을 선포했다. 변선구 기자

이 대표는 민노총이 지난 17일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고 사회적 대타협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 참여 여부를 결정하려다 정족수 미달로 불발된 것에 대해 “많이 기대했는데 성립이 안 돼서 아쉽게 됐다”고 아쉬움을 나타냈다. 노동계 출신으로 이날 간담회에 동석한 한정애 민주당 정책위 수석부의장도 “바깥에서 주장해서 될 일이 아니지 않으냐. 제발 (경사노위) 안으로 들어와서 문제를 제기해달라”는 뜻을 밝혔다고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기자들을 만나 “기존 노조 쟁의와 같이 처우 개선을 갖고 (파업)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걱정스러워 하는 것에 대해 충분히 설명했다. 그런 부분에서 서로 이해가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참석자는 “민노총 측에서는 자신 나름의 방식으로 현 정부의 개혁 과제 이행 소홀 등을 비판하겠다는 뜻을 꺾지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경사노위 참여 여부와 관련해 “내년 1월 정기대의원대회에서 확정 짓겠다”고 밝혔다.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지난 24일 제시한 탄력근로제 확대(3개월에서 최대 1년까지) 방침에 대한 입장도 확연히 갈렸다. 김 위원장은 “노동시간 단축 관련 법을 개정한 지 1년이 채 되지도 않았는데, 그 자체를 무력화하는 법안이 거론되고 추진되는 것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고 말했다. 이에 민주당 관계자는 “이 대표는 탄력근로제가 필요한 업종이 분명히 있고, 그런 업종에서는 반드시 탄력근로를 해야 한다는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과 민노총은 이날 양측의 정책 협의를 정례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실무 차원의 대화를 자주 갖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

하준호 기자 ha.junh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