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라산 독특한 습지 '숨은물뱅듸'···멸종위기 4종 산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긴꼬리딱새.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긴꼬리딱새.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제주 한라산에 위치한 습지보호지역인 ‘숨은물뱅듸’에 매와 애기뿔소똥구리 등 멸종위기 야생생물 4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숨은물뱅듸를 처음 조사한 결과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숨은물뱅듸에서 고층습원형 습지를 대표하는 물이끼 군락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4종을 포함해 총 528종의 야생생물의 서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숨은물뱅듸 습지보호지역은 한라산 해발 980m에 위치했으며, 물이 잘 빠지는 화산지역에 속한 특이한 산지 습지다. 헝겊 조각처럼 패치(patch) 형태로 분포하는 ‘나무섬(tree island)’이 독특한 경관을 보여준다. 2015년에 람사르습지로 등록됐다.

한라산 숨은물뱅듸 습지보호지역.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한라산 숨은물뱅듸 습지보호지역.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국가 차원 첫 조사…물이끼 군락 확인

한라산 숨은물뱅듸 물이끼군락.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한라산 숨은물뱅듸 물이끼군락.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이번 정밀 조사는 숨은물뱅듸가 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국가 차원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것이며, 지난해 1월부터 최근까지 1년 10개월에 걸쳐 진행했다.

조사 결과, 숨은물뱅듸에 존재하는 물웅덩이는 ‘고층습원형 오미(물이 괴어 있는 곳을 뜻하는 우리말)’라고 분류되는 국내 희귀 서식처이며, 고유의 생태계가 양호하게 보전된 것으로 확인됐다.

또, 숨은물뱅듸에서 고층습원의 특징을 대표하는 물이끼 군락이 확인됨에 따라 이곳은 강원도 인제의 대암산 용늪에 이어 두 번째로 물이끼 군락이 분포하는 고층습원 습지로 확인됐다. 남부지방에서는 최초의 고층습원형 습지이다.

애기뿔소똥구리·매 서식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매.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매.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이번 정밀 조사에서 확인된 생물종은 식물 291종, 조류 33종, 포유류 6종, 양서파충류 9종, 육상곤충 124종,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9종, 동식물플랑크톤 46종 등 총 528종이다. 그만큼 다양한 생물종이 살고 있다는 뜻이다.

국립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숨은물뱅듸 물웅덩이는 주변의 세 개의 오름에서 물을 지속해서 공급받는데, 이는 식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야생 동물에게 물을 제공해 주변 생태계를 보전·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종 애기뿔소똥구리.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특히, 멸종위기 Ⅰ급인 매를 포함해 Ⅱ급인 자주땅귀개, 긴꼬리딱새, 애기뿔소똥구리 등 총 4종의 서식이 확인됐다.

또, 제주도롱뇽을 비롯해 개족도리풀, 바늘엉겅퀴, 벌깨냉이 등 고유종 15종도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제주도롱뇽.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한라산 숨은물뱅듸에 서식하는 한국고유종 제주도롱뇽. [사진 국립환경과학원]

이정환 국립환경과학원 국립습지센터장은 “숨은물뱅듸에 존재하는 특이 서식처인 오미(물웅덩이)에 대해 좀 더 세분화된 정밀조사를 수행할 계획”이라며 “이번 정밀조사 결과는 개별 습지보호지역에 대한 보전 계획 및 습지 관리정책 수립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