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이념 성향 관계없이 원전 찬성 비율이 높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원자력 발전에 대한 국민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원자력 발전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원자력 발전을 늘리거나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도 69.3%에 달했다. 한국원자력학회, 에너지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 과학기술포럼이 어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발표한 ‘2018 원자력 발전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다.

세 단체의 의뢰를 받아 여론조사 전문업체인 한국리서치가 이달 6~7일 이틀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95% 신뢰 수준에서 최대 허용 표집오차는 ±3.1%다. 이번 조사에서 특히 눈에 띄는 건 이념 성향별 응답이다. 자신이 진보 성향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 60.5%가 원전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중도나 보수 성향 응답자의 원전 찬성 비율은 각각 72.9%, 85.7%였다.

조사 결과가 말하는 건 이념 성향과 무관하게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원전에 찬성하고, 원전 비중을 유지하거나 늘려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응답자는 이미 원전의 발전 단가가 저렴해 전기료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동의 73.2%). 다만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관리와 중대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도 70%를 넘었다.

이는 안전성만 확보하면 원전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미인데 한국의 원전이 안전하다고 응답한 비율도 55.5%다. 그런데도 현 정부는 탈(脫)원전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 정부의 이런 고집에 대한 응답자의 평가는 박하다. 50.1%가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대해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는 이제 탈원전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 한때 탈원전을 추진했던 미국·일본·영국 등도 궤도를 수정해 원전을 확대하고 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