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년 만에 … 삼성전자·반올림 ‘반도체 백혈병’ 갈등 끝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10년 넘게 갈등을 빚어온 ‘삼성전자 반도체 백혈병’ 분쟁이 마침내 매듭을 짓게 됐다. 삼성전자와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 양측이 ‘반도체 사업장에서의 백혈병 등 질환 발병과 관련한 문제 해결을 위한 조정위원회’가 조만간 내놓을 최종 조정안을 수용하기로 합의했다.

양측 모두 조정위 제안 무조건 수용 #피해자 보상 등 내용은 9월께 발표 #2007년 20대 생산직 숨지며 촉발 #이재용 ‘신뢰 회복’ 의지 작용한 듯

조정위원회는 지난 18일 삼성전자와 반올림에 ‘2차 조정을 위한 공개 제안서’를 발송했다. 답변 마감일인 지난 21일 삼성전자는 “2차 조정안을 내용과 상관없이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날 반올림도 수용 의사를 조정위 측에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지 않은 ‘백지’ 상태의 2차 조정안에 대해 삼성전자와 반올림이 ‘무조건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것이다.  2차 조정안에는 새로운 질병에 대한 보상 방안, 반올림 피해자 보상안, 삼성전자의 사과, 반올림 농성 해제, 재발 방지 및 사회공헌 등의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가 회사의 책임을 인정하는 조정안을 받아들이기로 한 것은 이례적이다.

2014년 12월 반도체 백혈병 문제 해결을 위해 삼성전자·반올림 등의 합의로 구성된 조정위원회는 2015년 7월 1차 조정안을 발표했었다. 조정안에 대해 삼성전자와 반올림이 각각 수락하거나 거부하는 방식이었다. 하지만 1차 조정안은 발표된 직후 합의를 끌어내는 데 실패했다.

조정안 발표 두 달 후 삼성전자가 자체 보상을 시작했고 현재까지 130여 명의 보상이 이뤄졌다. 반올림은 삼성전자의 자체 보상을 거부하며 2015년 10월부터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 1000일여간 천막 농성을 이어오고 있다.

조정위원회는 2차 조정안을 빠르면 오는 9월 발표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최종 조정안이 나오는 대로 9월 말이나 10월 초까지 반올림 피해자 보상을 모두 완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일하다가 백혈병으로 숨진 고(故) 황유미 씨. [연합뉴스]

삼성전자 반도체공장에서 일하다가 백혈병으로 숨진 고(故) 황유미 씨. [연합뉴스]

반도체 백혈병 분쟁은 2007년 3월 경기도 용인시에 있는 삼성반도체 기흥 공장 생산라인에서 일하던 황유미(당시 22세)가 사망하면서 불거졌다. 2003년 10월 입사한 황 씨는 입사 2년여 만인 2005년 6월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았고 유족은 직업병을 주장했다. 이후 2007년 11월 13개 단체로 이뤄진 ‘삼성반도체 집단 백혈병 진상규명과 노동기본권 확보를 위한 대책위원회’, 2008년 3월 반올림, 2014년 9월 삼성전자 직업병 피해자 ‘가족대책위원회’가 결성됐다.

이들은 삼성전자를 상대로 그간 반도체 공정과 백혈병의 연관성에 대해 인정하고 보상·사과할 것을 요구했다. 삼성전자는 줄곧 두 사안이 무관함을 주장해왔다.

삼성전자가 아직 내용도 확정되지 않은 2차 조정안을 받아들이기로 결정한 데는 이 문제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커진 데 대한 압박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정치권에서도 이 문제에 적극 개입하고 있다.

반도체 백혈병 분쟁은 반도체 공정 공개 논쟁으로도 번졌다. 지난 2월 대전고등법원이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등의 ‘작업환경측정 결과보고서’를 공개하라는 판결을 내렸고, 고용노동부는 이를 공개하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기밀 누출’을 이유로 집행정지 신청을 제기했고, 현재 받아들여진 상태다.

조정위원회도 강수를 뒀다. 한쪽이라도 2차 조정안을 거부하면 더는 활동을 이어가지 않겠다고 했다. 2차 조정안을 거부할 경우 양쪽이 모두 사회적인 비난을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재계에서는 지난 2월 집행유예로 석방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의지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본다. 석방 후 ‘삼성의 신뢰 회복’에 대해 고민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 부회장에게 ‘10년 묵은 난제’인 반도체 백혈병 분쟁은 조속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조명현 고려대 경영대 교수는 “그간 부정적인 이미지를 씻어내기 위해서라도 ‘사회적 합의’로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작용했을 것”이라며 “합리적인 최종안이 마련되면 사회적 갈등이 합의와 조정으로 해결되는 좋은 선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