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종 갈등 해소 노력처럼 세대 간 스킨십 기회 늘려야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82호 04면

[SPECIAL REPORT] 세대 갈등 줄이려면 어떻게

중앙SUNDAY와 SK텔레콤 AI(인공지능) 사업유닛의 분석에서처럼 각 정책을 둘러싼 세대 간 이견과 갈등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국무총리실 산하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 2월 발표한 ‘2017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도 노인층과 젊은층의 갈등 정도가 ‘심하다(약간 심하다+매우 심하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의 62.3%에 달했다. 2016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62.2%가 “세대 갈등이 심하다”고 답했다. 이보다 2년 전엔 응답자의 56.2%만 이에 동의했었다.

홍대앞·탑골공원 거리감 깨려면 #세대가 함께하는 공간 만들 필요 #갈등 유형별 해결대책 달리해야

세대 갈등은 정책 입안은 물론 집행 과정에서도 넘어야 할 숙제다. 정책 수용자인 국민 개개인이 느끼는 정책 효능감이 가급적 비슷한 수준에 이르는 게 좋은 정책이란 점에서다. 전대성 전주대 행정학과 교수는 “예전에는 이념 등에 밀려 크게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던 정책 수용자의 제너레이션 갭(Generation Gap·세대 차)이 정책의 성패를 가르는 주요 지표로 부상했다”며 “나이에 따라 정보 접근성이나 경험 등이 엇갈리다 보니 동일한 정책에 대해 느끼는 효과성도 달라지기 쉽다”고 말했다.

특히 통일 관련 정책 등에 대해서는 세대 간 이해도가 첨예하게 갈린다. 이번 분석처럼 50대 이상 장년층은 통일이나 북한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우호적인 반응이 많다. 젊은층은 이보다 덜 우호적이다. 박주화 통일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남과 북이 함께하는 경험이 반드시 긍정적일 필요도 없으며 긍정적이기를 강요해서도 안 된다”며 “교과서나 뉴스가 아닌 경험을 통해 북한·통일·평화를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 학습과 경험의 간극을 좁히는 기회가 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고 제안한 이유다.

정광호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단단하게 굳어 있는 세대 간 인식의 틀을 유연하게 바꿔 주는 게 세대 갈등을 줄이는 작업의 시작”이라며 “객관적인 사실과 증거, 사례 등을 토대로 이런 차이를 줄여 가야 함에도 일부 정파나 언론 매체의 경우 자신들의 프레임에 맞는 부분적 사실과 편향된 정보를 사용해 세대 갈등을 조장하는 측면이 있다”고 꼬집었다.

과거 미국 연방정부가 흑백 인종 간 갈등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던 것처럼 세대 갈등 해소를 위해 세대 간 스킨십 기회를 늘리는 등 인위적인 혼합(mix) 노력이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명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요즘 우리 사회에서는 ‘홍대앞’과 ‘탑골공원’이란 공간으로 상징되는 것처럼 세대 간 고립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며 “사회적 비용을 어느 정도 치르더라도 각 세대가 같은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국사회학회장인 신광영 중앙대 교수는 세대 갈등의 유형별로 해결책을 달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각 세대가 인식한 갈등의 원인이 서로 다른 것인지 아니면 동일한 원인에 대한 해석이 다른지에 따라 대응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기본적으로 세대 갈등의 원인을 거시적이고 국제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 객관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