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권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추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전국 최대의 원전 밀집지이자 양산단층이 지나면서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부산권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이 추진된다.

부산-양산-부산 국립대 연합 MOU #문 대통령 동남권 지진센터 공약 #실무협의회 구성해 설립 촉구키로

부산시는 11일 오전 부산시청에서 양산시, 부산 국립대 연합(부산대·부경대·한국해양대)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단위 지진전문 연구기관인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한다. 앞으로 공동 실무협의회를 구성해 부산대 양산캠퍼스 등에 국립지진방재연구원 설립을 정부에 촉구하는 것이다.

부산은 원전밀집도가 세계 3위(국내 1위)로 사고가 날 경우 피해 반경 안에 인구(380만 명)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또 양산단층대의 주요 단층인 양산·동래·일광단층이 지나간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후보 당시 동남권 지진방재센터 설립을 공약한 바 있다.

부산시는 지난해 11월 전담팀을 발족하고 부산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연구원 설립 방안을 연구해왔다. 그 결과 국립지진방재연구원은 인력 250여명에 5실 1센터 18팀의 조직을 갖추고 지진 모니터링, 연구기획과 수행, 연구 인프라 지원, 관련 기술 인증 같은 업무를 해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원 후보지 4개소를 평가한 결과 부산대 양산캠퍼스 내 산학협력단지(10만㎡)가 최적지로 꼽혔다.

부산은 지진이 빈번한 동남권에 있고 지진 연구와 관련해 국내에서 수준급의 인적·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 부산시가 연구원의 부산권 설립을 주장하는 이유다.

부산대의 경우 행정안전부가 지정한 지진방재 분야 전문인력 양성학교이자 양산캠퍼스에 세계 2위 규모의 지진 모사(시뮬레이션) 진동대를 갖춘 지진방재센터를 갖고 있다. 부경대와 부산대는 또 2041년까지 국가 활성단층 연구를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해양대는 인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국립해양조사원과 함께 해저 지형과 단층연구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다.

허남식 부산시 재난대응과장은 “우리나라는 아직 지진만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국립연구기관이 없다”며 “부산권에 연구원을 설립해 증가하는 지진의 모든 분야를 연구하고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