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플라스틱 대란]일본은 작년부터 베트남 등으로 분산 수출해 '숨통'

중앙일보

입력

일본은 지난해 가을 중국이 폐플라스틱 수입을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정하자 수출 지역을 다변화하는 등 대안을 모색해 왔다.

일본도 중국이 수출의 85% 차지 #작년부터 이미 베트남 등 다변화 #대부분 국내 재활용 불구 '활로' 모색 #가정에선 '깨끗한 플라스틱' 배출 엄격

일본도 폐플라스틱 수출량 절반 이상을 중국으로 보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폐플라스틱 전체 수출양 152만7000t 가운데 52.6%(80만3000t)가 중국 본토로 수출됐다. 여기에 홍콩 수출량 32.3%(49만3000톤)까지 합치면 84.9%(129만6000톤)가 중국으로 집중되고 있는 현실이다. 폐지 역시 70%가 중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은 작년부터 베트남, 말레이시아, 대만 등으로 수출대상국을 다양화 하는데 대책의 초점을 맞췄다. 도쿄신문에 따르면 2017년부터 중국 수출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대신 폐플라스틱은 베트남, 말레이시아, 폐지는 대만으로의 수출양이 각각 급증했다. 이 신문은 “여타 선진국도 향후 동남아시아로 수출을 늘릴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2일 오후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쓰레기 분리수거장에 주민들이 내놓은 비닐·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여 있다. 환경부는 폐비닐 등 수거를 거부했던 수도권 재활용업체와 협의한 결과 48개 업체 모두 폐비닐 등을 정상 수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수도권 일부 재활용업체는 중국 환경보호부가 올해부터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중단하자 처리 비용 등의 문제로 폐비닐 수거 거부를 통보해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한동안 혼란을 겪었다.[뉴스1]

2일 오후 서울 용산구의 한 아파트 쓰레기 분리수거장에 주민들이 내놓은 비닐·플라스틱 쓰레기가 쌓여 있다. 환경부는 폐비닐 등 수거를 거부했던 수도권 재활용업체와 협의한 결과 48개 업체 모두 폐비닐 등을 정상 수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수도권 일부 재활용업체는 중국 환경보호부가 올해부터 재활용 쓰레기 수입을 중단하자 처리 비용 등의 문제로 폐비닐 수거 거부를 통보해 아파트 단지 주민들이 한동안 혼란을 겪었다.[뉴스1]

일본은 전체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중 약 88%를 국내에서 처리하고 있다. 사단법인 플라스틱순환이용업계에 따르면 2016년 1128만t 가운데 수출량은 138만t에 지나지 않는다. 이미 폐플라스틱의 대부분을 국내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처리 능력을 갖추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수출다변화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

재활용업계, 환경단체는 중국의 수입규제를 오히려 기회로 보고 환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12% 수준인 수출량을 내수용으로 돌려 '사업 기회'로 삼겠다는 취지다.

일본 환경성 담당자는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수출량은 적지만 힘든 상황이긴 하다. 현재는 수출 분량을 재활용하거나 소각시설에서 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 측에 투명성 있는 제도를 운영해줄 것을 요청한 상태이며 향후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선 플라스틱 폐기물을 최대한 깨끗하게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 실생활에서 엄격한 분리배출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도쿄 시내 한 맨션의 스레기 분리수거장. '깨끗한 플라스틱'만 수거한다고 적혀있다. 일본은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깨끗이 씻은 플라스틱만 수거하고 음식물 등이 묻은 경우엔 소각 처리 해버린다. [사진=윤설영 특파원]

도쿄 시내 한 맨션의 스레기 분리수거장. '깨끗한 플라스틱'만 수거한다고 적혀있다. 일본은 재활용율을 높이기 위해 깨끗이 씻은 플라스틱만 수거하고 음식물 등이 묻은 경우엔 소각 처리 해버린다. [사진=윤설영 특파원]

일본은 페트(PET)병 버릴 때 반드시 라벨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사진=윤설영 특파원]

일본은 페트(PET)병 버릴 때 반드시 라벨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사진=윤설영 특파원]

각 가정별로 배출하는 쓰레기 가운데 플라스틱과 페트(PET)병 비닐을 철저하게 구분하는 한편 오염물이 묻어있는 경우는 재활용품으로 수거하지 않는다. 배출 폐기물은 되도록 흰색이나 투명한 비닐에 넣도록해 음료나 음식물이 묻어있는 제품은 아예 수거 단계에서 ‘타는 쓰레기'로 분류해 소각해버린다.

도쿄=윤설영 특파원 snow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