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특사 자리배치 결례 논란에…중국 "새로운 관행" 해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2일 오후 중국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 푸젠팅에서 방북 방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인사말을 하고 있다.

12일 오후 중국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 푸젠팅에서 방북 방미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 인사말을 하고 있다.

12일 오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예방 때 자리배치를 두고 논란을 낳은 가운데 중국 측이 "새로운 관행"이라고 27일 연합뉴스에 밝혔다.

당시 시 주석은 테이블 중앙 상석에 앉았다. 그러나 정 실장은 그보다 격이 떨어지는 하석에 앉았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연합뉴스에 "중국 측에서 사후적인 설명이 있었다. (이번 좌석배치에 대해) 새롭게 정착되고 있는 관행이라고 설명했다"라며 한국만을 겨냥한 행동은 아니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한중 양측은 정 실장의 방중 일정을 형식적인 측면보다는 내실에 더 관심을 두고 진행했다"면서 "중국 측도 이번 정 실장의 방중에 큰 관심을 보였다"고 강조했다.

시진핑, 미얀마 군 총사령관과 회담. [신화망]

시진핑, 미얀마 군 총사령관과 회담. [신화망]

새로운 관례라는 설명과 달리 중국은 지난해 10월 베트남과 라오스의 공산당 총서기 특사가 시 주석과 면담할 때, 11월 미얀마 군 사령관의 시 주석 면담 때는 모두 시 주석과 방중 인사의 의자를 나란히 놓았다.

중국은 작년 5월 문재인 대통령 특사로 방중한 이해찬 의원이 시 주석을 면담할 때부터 이런 자리 배치를 했다.

홍수민 기자 su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