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10억엔으로 세운 위안부 치유재단, 곧 해산 수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현판식이 열린 2016년 7월, 건물앞에서 시위를 벌인 반대 단체. 김춘식 기자

위안부 화해치유재단 현판식이 열린 2016년 7월, 건물앞에서 시위를 벌인 반대 단체. 김춘식 기자

2015년 ‘한-일 위안부 피해자 합의’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재단 이사진이 전원 사직서를 냈다. 화해치유재단은 박근혜 정부가 일본 아베 정부와 맺은 위안후 합의의 후속 조치로, 여성가족부 산하 조직으로 만들어졌다. 이사 8명 중 5명이 사임하면 정관에 따른 이사 최소 인원 5명에 미치지 못해 제 기능을 할 수 없다.

30일 여성부에 따르면 이들이 동시에 사표를 낸 날짜는 26일이다. 이 다음날 외교부는 장관 직속 기구인 ‘한일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문제 합의 검토TF’를 통해 “박근혜 정부가 위안부 합의 이면 사항을 숨겼다”는 취지의 내용을 발표했다. 같은날 여성부도 “화해치유재단은 박근혜 대통령 지시사항을 필두로 속전속결로 설립됐다”며 “생존 위안부 피해자 등에게 현금 수령을 적극 권유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사 5명의 사의 표명에 따라 화해 치유재단은 사실상 해산 단계에 들어서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여성부 관계자는 “아직 재단의 거취는 정해진 게 없다”며 “외교부와 협의해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화해치유재단은 위안부 합의 이후 일본 정부의 출연금 10억엔으로 세워진 재단이다. 현재까지 생존자 34명에게 각 1억원, 사망자 58명의 유족 등에게 각 2000만원을 치유금 명목으로 지급했다. 남아있는 기금은 61억원이다.

최선욱 기자 isotop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