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 한반도 정책 ‘3각축’ 완성 … 동아태 차관보 대화파 손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캐나다를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이 19일(현지시간) 크리스티나 프릴랜드 캐나다 외무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AFP=연합뉴스]

캐나다를 방문 중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왼쪽)이 19일(현지시간) 크리스티나 프릴랜드 캐나다 외무장관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AFP=연합뉴스]

미국의 한반도 정책 ‘핵심 3인방’ 진용이 드디어 마무리됐다.

트럼프 정부 11개월 만에 진용 갖춰 #26년 직업외교관, 한국 업무 경력 #틸러슨 신임 깊고 대북 대화 중시 #국방부 아태담당, 대중 강경 성향 #NSC 보좌관은 전 베이징 특파원

백악관은 19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직업 외교관인 수전 손턴(54)을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에 임명했다”고 발표했다. 내년 초 상원 인준을 거쳐 정식 임명된다.

이로써 트럼프 행정부 출범 11개월 만에 비로소 ‘국무부 동아태차관보-국방부 아태차관보(랜들 슈라이버·50)-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매슈 포틴저·44)’ 라인이 완성된 것이다.

이들의 출신 또한 직업 외교관(손턴), 군인(슈라이버), 기자(포틴저) 등으로 다채롭다. 세 명 모두 중국과 상당한 인연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패트릭 크로닌 신미국안보센터(CNAS) 아시아·태평양 안보소장은 이날 트위터에 “손턴은 매우 뛰어난 외교관리”라며 “세 사람이 막강 아시아 정책팀을 꾸리게 됐다”고 평가했다.

손턴의 동아태 차관보 지명을 두곤 “틸러슨 국무장관의 승리”(버즈피드)란 분석도 나왔다. 그만큼 지난 3월 대니얼 러셀 전 차관보가 그만둔 이후 ‘차관보 대행’을 맡아 온 손턴을 둘러싸고 우여곡절이 많았다. ‘친중파’ ‘틸러슨 사람’이란 꼬리표가 붙어다니면서 ‘트럼프 백악관’의 견제를 받았기 때문이다.

손턴은 메인주 보딘칼리지(경제학·러시아어 전공)를 졸업한 후 존스홉킨스 국제대학원(SAIS)에서 국제관계를 전공했다. 1991년 국무부에 들어온 후 26년 동안 직업 외교관으로 활약해 왔다.

한반도 정책 핵심 3인방

한반도 정책 핵심 3인방

중국 베이징과 청두(成都)공관, 러시아 영향권인 아르메니아·카자흐스탄 등에서 해외근무를 했다. 국무부 본부에서 한국과(課) 경제담당을 맡으면서 한국과도 인연을 맺었다.

석유 재벌 엑손 출신인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 부임한 뒤 고위직 정통 외교관들이 대거 퇴진하는 가운데 손턴은 틸러슨의 신임을 한 몸에 받았다.

틸러슨은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를 지휘하는 동아태 차관보에 일찍이 손턴을 기용하려 했지만 강경파가 포진한 백악관이 반대했다.

특히 ‘미국 우선주의’ ‘반중국’으로 편향돼 있던 스티브 배넌 전 수석전략가는 경질되기 직전 인터뷰에서 손턴을 콕 찍어 “그녀를 국무부에서 쫓아낼 것이다. 그들(국무부 대화파)은 지금 두려움에 오줌을 지리고 있다”고 호언장담하기도 했다.

손턴은 북한에 대해 틸러슨과 마찬가지로 대화를 중시하자는 비교적 온건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월 말 국방부 아태담당 차관보로 취임한 슈라이버는 해군 출신으로 94년 국방부에 들어가 중국부장 등을 지냈다. 조지 W 부시 정권에선 2002년부터 2년간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를 맡았고, 리처드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의 비서로도 활동한 경력이 있다. 이 인연으로 ‘아미티지 사단’으로 분류된다. 중국의 군비 확장과 대외정책에 부정적 견해를 지닌 대표적 대중 강경파다. 대만엔 매우 우호적이기도 하다.

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인 포틴저는 독특한 경력의 보유자다. 로이터통신과 월스트리트저널 기자로 베이징에서 근무했다.

베이징 근무 당시 중국 기업 비리에 대한 탐사보도에 나섰다가 중국 공안에게 두들겨 맞은 경험도 있다고 한다. 2005년 기자생활을 끝낸 뒤 해병대에 입대해 아프가니스탄에서 장교로 근무했다. 미 국방부 동성훈장·참전훈장 등을 받은 그는 대위로 예편 후 미 외교협회(CFR) 펠로를 지냈다.

한편 미 백악관은 19일에도 대북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이날 미 CBS방송에서 “북한의 핵무장을 허용할 수 없다”며 “우리가 그런 위험을 참아낼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도 이날 “북한이 대화할 준비가 돼 있지 않으면 우리는 대화할 수 없다. 대북 압박 강화 방안을 계속 찾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서울=문병주 기자 luckyma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