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한·중 관계 정상화 성과…무역채널 전면 재가동”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홀대 논란이 벌어진 방중 외교와 관련해 “한·중 관계의 전면적인 정상화를 위한 기틀을 확고히 했다”며 “시진핑 주석 등 중국 지도자들과 우의와 신뢰를 돈독히 하고, 중국 국민의 마음을 얻는 내실 있는 성과가 있었다”고 자평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이번 중국 방문은 무엇보다 우리 외교의 시급한 숙제를 마쳤다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싶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양국은 경제 무역 채널의 전면 재가동을 포함해 정치, 안보 등 모든 분야에서의 교류 협력을 정상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시진핑 주석과의 핫라인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며 “양국 관계는 한 단계 더 발전하고, 외부 요인에 흔들리지 않는 견고하고 성숙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구축을 위한 4대 원칙에 합의한 것도 큰 성과”라며 “앞으로 양국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위해 더욱 긴밀하게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구체적 사업에 있어서도 다양한 분야에서 MOU를 체결하는 등 실질적인 합의가 많이 이뤄졌다”며 “국민들이 이번 방문의 성과를 하루빨리 체감할 수 있도록 후속 조치를 신속히 추진하고, 각 부문의 성과를 적극 홍보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중국 등 7개국 방문과 40여회에 이르는 정상회담을 언급한 뒤 “이를 통해 정부 출범 때 물려받은 외교 공백을 메우고, 무너지거나 헝클어진 외교 관계를 복원하는 등 시급한 과제들을 어느 정도 해결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주변 4국과의 관계를 정상적으로 복원하고, 신북방정책과신남방정책을 통해 외교 지평을 유라시아와 아세안까지 넓혀 우리 정부의 국정목표인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실현하기 위한 협력 토대를 더욱 내실 있게 다진 것은 큰 수확”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앞으로도 국익과 국민을 우리 외교의 최고 가치로 삼아 실사구시의 실용 외교를 펼쳐나가고자 한다”며 “우리의 안보와 평화를 이끌고 경제 발전에 활력을 불어넣는 외교를 보다 적극적으로 추진함으로써 국익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추인영 기자 chu.inyo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