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초년생 절반 빚 3000만원 … 직장인 월평균 26만원 저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5면

지난 8월 대학을 졸업한 김수영(가명·27)씨는 아르바이트를 하며 취업을 준비 중이다. 집안 형편이 어려운 김씨는 대학 4년 내내 학자금대출을 받았다. 쌓인 대출 잔액만 1600만원이다. 그는 취업만 하면 3년 안에 이 빚을 다 갚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씨는 “계산해보니 3년 내 갚으려면 월 상환액이 45만원”이라며 “초봉 2400만원, 월 수령액 182만원으로 가정하고, 현재 주거비·생활비는 100만원 정도 드니까 아껴서 생활하면 못 갚을 금액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취업 준비를 하다 보니 구직 기간이 길어진다는 점이다.

신한은행 ‘금융생활 보고서’ 분석 #취준생, 스펙 쌓는데 384만원 지출 #“노후 대비 재테크 여력 없다” 26% #자녀 사교육비는 월평균 33만원

팍팍한 취업준비생·사회초년생의 생활상이 통계로도 확인됐다. 신한은행이 7일 발표한 ‘2018 보통사람 금융생활 보고서 7대 핵심 이슈’ 자료를 통해서다. 신한은행 빅데이터센터가 9~11월 금융소비자 2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남들은 보통 어떻게 하느냐’는 사람들의 궁금증에 대한 답이다.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취업준비생=13개월. 취업준비생들의 평균 취업 준비 기간이다. 이 기간 순수하게 취업 준비에 드는 비용(생활비, 주거비 제외)은 총 384만원, 월평균 29만원으로 나타났다. 준비 기간이 긴(평균 20개월) 공무원 시험 준비생(633만원)의 경우, 일반 사무직(345만원) 취업 비용의 1.8배에 달했다.

일반 사무직 취업 준비생은 주로 자격증 취득(52%)과 어학 시험(32%), 교내 취업프로그램 참가(27%), 학원·인터넷 등 사교육 강의 수강(26%)에 돈을 들였다(복수 응답).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됐다고 하지만 여전히 ‘스펙 쌓기’ 비용이 컸다. 취업준비생 10명 중 6명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이런 비용을 충당했다. 가족에게 손을 벌리는 비율도 58%에 달했다(복수 응답). 부모가 주는 지원금은 월평균 15만원이었다.

◆사회초년생=어렵게 취업 관문을 뚫는다고 해도 형편이 확 피는 건 아니다. 경력 3년 이하의 사회 초년생을 조사한 결과, 이 중 절반에 가까운 47%는 금융권 대출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들의 대출 잔액은 평균 2959만원에 달한다. 학자금대출 보유자(21%)가 가장 많고 주택담보대출, 신용대출, 전·월세자금대출(각각 8%) 등을 보유했다. 빚을 진 사회초년생은 월평균 61만원을 빚 갚는 데 썼다. 연봉을 고려하면 남은 대출금을 모두 갚는 데 평균 4년 이상 걸릴 전망이다.

사회초년생들은 더 나은 연봉을 희망하며 이직을 꿈꾼다. 조사 결과 직장인 중에서도 ‘이직 욕구’가 가장 큰 건 2년 차로 나타났다. 2년 차 직장인 중 86%는 이직을 희망해서 1년 차(83%)나 3년 차(82%)보다 이직 열의가 강했다. 2년 차는 연봉을 평균 712만원 더 올려주면 직장을 옮길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현재 연봉(2455만원)의 29% 인상을 희망하는 셈이다.

◆자녀 교육비=자녀가 있는 가구의 경우 역시 교육비 지출이 큰 부담이다. 자녀 1인당 쓰는 사교육비는 월평균 33만원으로 조사됐다. 영유아(5세 이하) 때는 평균 12만원을 쓰지만 미취학 아동(6~7세)은 18만원, 초등학생은 30만원, 중학생 41만원, 고등학생 47만원으로 점점 불어났다.

사교육비의 지역 편차는 컸다. 서울의 강남 3구(서초·강남·송파구)의 평균 사교육비는 50만원으로 강북(37만원)보다 13만원 많았다. 특히 고등학생은 강남 3구 사교육비가 월 86만원으로 강북(54만원)과의 차이가 커졌다.

◆노후 준비=빚 갚으랴, 애 교육하랴, 돈 들어갈 곳이 많다 보니 저축 여력은 바닥이다. 직장인의 26%는 노후를 위해 저축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노후 대비 정기적으로 저축하는 비율은 47%로, 월평균 저축액은 26만원이었다. 평균 근로소득(월 285만원)의 9%에 불과하다. 왜 저축을 하지 않느냐는 질문엔 ‘저축할 목돈이 없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37%). ‘금리가 낮아서’(31%), ‘장기적인 저축이 부담돼서’(11%)가 뒤를 이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를 은행 내부 데이터와 결합해 고객의 행동 패턴 분석, 상품·서비스 개발에 활용할 것”이라며 “고객들은 은행 전 영업점에서 이 조사 결과를 활용해 재무상담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