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으로 다시 거세진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탈핵 경남시민행동이 16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위성욱 기자

탈핵 경남시민행동이 16일 오전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위성욱 기자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동해안에 밀집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다시 커지고 있다. 지난달 건설 재개가 결정된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을 백지화하라는 목소리다.

환경단체 “ 더 큰 지진 올 수 있다” 경고 #부산·양산 환경단체 등 잇따라 기자회견 #“시민단체 연대해 건설중단 여론 모을 것” #원전 찬성쪽 "원전 지진에 문제 없다" 반박

탈핵 경남 시민 행동은 16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고리 5, 6호기 건설 백지화를 촉구했다. 이들은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한 포항은 월성원전에서 42㎞ 떨어져 있다”라며 “포항 지진에 그치지 않고 더 큰 지진, 현재 원전 내진 설계를 넘어서는 지진이 언제라도 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탈핵 경남시민행동 기자회견 모습. 위성욱 기자

탈핵 경남시민행동 기자회견 모습. 위성욱 기자

 탈핵 경남시민행동 기자회견 모습. 위성욱 기자

탈핵 경남시민행동 기자회견 모습. 위성욱 기자

이어 “신고리 5, 6호기는 지진 규모 7.0의 내진 설계로 건설돼 있지만 그 이름만으로도 부산·울산·경남 주민에게는 ‘불의 고리’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작년 경주 지진에서 이미 인지한 것처럼 한반도가 더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다”며 “체르노빌과 후쿠시마의 아픔이 우리 월성과 고리의 아픔과 눈물이 돼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하루 전 민중당 울산시당은 논평에서 “신고리 5, 6호기 건설 재개가 비록 결정됐지만, 지금이라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면서 “월성1호기를 비롯한 노후 원전은 조속히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공사 중인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5, 6호기 안전 점검 실시 모습. 송봉근 기자

현재 공사 중인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5, 6호기 안전 점검 실시 모습. 송봉근 기자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5, 6호기 건설현장.송봉근 기자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5, 6호기 건설현장.송봉근 기자

신고리 원전 5, 6호기 백지화 목소리는 부산에서도 이어졌다. 탈핵 부산시민연대는 이날 오후 2시 부산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규 원전 건설 중단과 노후 원전 조기 폐쇄를 요구했다.

최수영 탈핵 부산시민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던 신고리 5, 6호기 건설 백지화와 신고리 4호기의 건설을 이행해야 한다”며 “일사부재리 원칙 때문에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재개를 뒤엎기는 어렵겠지만, 한반도가 더는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전 반대 단체는 신고리 원전 5, 6호기가 규모 7.0 이상의 지진을 견딜 수 있게 내진 설계가 돼 있다는 원전 측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최 위원장은 “신고리 5, 6호기 건설 계획 당시 국내에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조건에서 설계를 했다”며 “내진설계에 여유를 둬서 7.0까지 견딜 수 있다고 말하지만 전제 조건 자체가 5.0 지진을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7.0 이상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탈핵 양산시민행동은 16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 5, 6호기 백지화를 요구했다. [사진 탈핵 양산시민행동]

탈핵 양산시민행동은 16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신고리 5, 6호기 백지화를 요구했다. [사진 탈핵 양산시민행동]

경북 경주에 위치한 월성원전에서 42㎞ 떨어진 경남 양산의 환경단체는 월성 1호기를 포함한 노후 원전의 가동을 중지하라고 주장했다. 탈핵 양산시민 행동은 이날 오전 기자회견에서 “불안한 활성 단층판 위에 있는 월성 1호기를 포함해 지진 지대 위 노후 원전의 가동을 전면 중단하고 조기 폐로해야 한다”며 “이번 포항 지진을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은 애초 공약대로 조속한 탈핵 전환을 결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대통령 선거 당시 40년 뒤 탈핵이 된다고 밝혔지만, 신고리 5, 6호기 건설이 재개되면서 2082년은 돼야 탈핵 시대에 돌입할 수 있는 상황이다. 각각 140만kW급인 신고리 5, 6호기는 8조6000여억원이 투입돼 각각 2021년과 2022년 완공 목표로 공사 중이다.

원전이 밀집해 있는 경남·북 시민단체들은 신고리 5, 6호기 건설 중단을 위해 연대할 방침이다. 최 위원장은 “조만간 전문가들과 지진 발생에 따른 원전의 안전성을 재평가하는 자리를 가질 것”이라며 “토론을 거쳐 도출된 결론을 갖고 국민을 설득해 나가는 작업을 각 지역의 시민단체와 함께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고리 5ㆍ6호기 건설 재개 촉구 범국민대회가 지난 9월 27일 서울 광화문 동화 면세점 앞에서 신고리 5, 6호기 건설중단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조문규 기자

신고리 5ㆍ6호기 건설 재개 촉구 범국민대회가 지난 9월 27일 서울 광화문 동화 면세점 앞에서 신고리 5, 6호기 건설중단 반대를 주장하고 있다. 조문규 기자

반면 신고리 원전 5, 6호기 건설을 찬성해온 단체는 원전 건설을 계속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체로 원전 인근 주민 등이 이런 주장을 펴고 있다. 이상대(65) 울주군 서생면 주민 협의회장은 “지진이 날 때마다 원전 안전이 논란이 되지만 신고리 5, 6호기의 경우 7.0 이상의 지진에 견딜 수 있게 내진 설계가 돼 있어 안전에 전혀 이상없다”며 “다른 원전도 내진 설계를 보강하는 등 보완 대책을 하는 만큼 원전 건설은 차질 없이 진행돼야 한다”고 반발했다.

창원·울산=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