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담뱃값 인상 '약발' 떨어지자…다시 오른 성인 남성 흡연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최악으로 치닫는 국민 건강 3제 ③ 40%대 유턴한 흡연율

성인 남성 흡연율이 1년 만에 40%대로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포토]

성인 남성 흡연율이 1년 만에 40%대로 반등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포토]

담뱃값 인상 ‘약발’이 떨어져서일까. 성인 남성 흡연율이 1년 만에 ‘40%대’로 유턴했다. 이 때문에 정부는 담배 규제 강화 등 추가적인 금연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해 19세 이상 남성 흡연율 40.7%로 조사돼 #'역대 최저' 2015년보다 1.3%P ↑, 여성도 상승 #가격 인상 효과 둔화에 추가적인 규제도 늦어져 #지갑 여유 있는 '고소득층'의 상승폭이 더 높아 #정부, 올해 흡연율 다시 내려갈 것으로 내다봐 #"대국민 금연 홍보, 소매점 광고 규제 강화해야"

  6일 발표된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2016년)에 따르면 19세 이상 남성 흡연율은 40.7%를 기록했다. 성인 남성 10명 중 4명은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다는 의미다. 2015년엔 담뱃값 2000원 인상의 영향으로 39.4%로 떨어졌다. 사상 처음으로 30%대를 찍었다. 하지만 1년 만에 1.3%포인트 다시 올라서 40%대가 됐다. 성인 여성 흡연율도 함께 반등했다. 5.5%에서 6.4%로 0.9%포인트 상승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흡연율이 높아진 이유는 뭘까. 복지부는 가격 인상의 효과를 높이려면 담뱃갑 경고그림 부착 등이 함께 시행됐어야 하지만 이런 조치가 늦어진 탓으로 분석했다. 실제로 2015년 1월에 담뱃값이 인상된 지 2년가량 지난 지난해 12월에야 경고그림 의무화가 시작됐다. 또 편의점 등의 담배 광고 금지 등 추가적인 규제는 진척되지 않고 있다.

  여성 흡연자 김모(32ㆍ서울 광진구)씨는 ”금연 광고와 담뱃값 인상 등의 영향으로 3년 정도 독한 마음을 먹고 금연을 이어갔다. 하지만 직장 스트레스가 커지고 가격 인상 체감도가 떨어지면서 지난해부터 다시 피우게 됐다“고 말했다.

담뱃값 인상에 둔감해진 건 저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고소득층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포토]

담뱃값 인상에 둔감해진 건 저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경제적 여유가 있는 고소득층인 것으로 조사됐다. [중앙포토]

  고소득층 흡연율 상승이 문제다. 소득 하위 25% 계층의 흡연율(성인 남성)은 2014년 45.9%에서 2015년 40.6%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41.1%로 소폭 올랐다. 반면 상위 25% 계층은 같은 기간 38.2%→35.9%→38.5%로 변화했다. 상대적으로 하락폭은 적었지만 다시 오르는 폭은 컸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의 흡연율 차이는 2014년 7.7%포인트였지만 지난해 2.6%포인트까지 줄었다. 장영진 복지부 건강증진과 사무관은 ”저소득층은 담뱃값 인상의 영향이 이어지는 편이지만 고소득층은 인상 직후 흡연이 줄었다가 곧바로 가격에 적응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올해 흡연율이 다시 소폭 감소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올해 상반기 담배 판매량 17억1000만갑을 바탕으로 올해 전체 판매량은 34억갑 안팎이 될 거라고 예측한다. 이는 지난해 전체 판매량(36억6000만갑)보다 적다.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담배 제품들. 정부는 흡연율을 끌어내리기 위해 담배 광고 규제 등 추가적인 비가격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서 판매되는 담배 제품들. 정부는 흡연율을 끌어내리기 위해 담배 광고 규제 등 추가적인 비가격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성인 남성 흡연율을 30%대로 다시 끌어내리기 위해서 추가적인 비가격정책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임숙영 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금연구역 확대와 담배 광고 금지, 가향담배 규제 등 추가적인 비가격정책을 추진하겠다. 다음달 스크린골프장·당구장 등 실내 체육 시설이 금연 구역으로 지정되며 담배 판촉 행위를 규제하는 법안도 곧 입법예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나빠지는 국민 건강

  조홍준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담배 가격 인상이 저소득층 금연에 효과적이라는 게 나타난만큼 저소득층의 금연을 더 활성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는 금연치료 프로그램뿐 아니라 대국민 금연 홍보에 재원을 투입하고 소매점 담배 광고를 규제해야 흡연율이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영ㆍ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