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 칼럼] 국민연금 의결권 행사, 시장에 맡겨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9면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올해 한국 증시는 확연히 달라졌다. 7년 만에 ‘박스피’를 탈출하며 펀더멘털(경제 기초체력)에 근거한 선진국형 증시 흐름을 보였다. 북핵 위기로 인한 충격도 잘 이겨내고 있다. 기업 실적도 좋았지만 새 정부의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대한 외국인의 기대감이 반영된 덕이 컸다.

기업지배구조 개선이라는 과제는 정부의 재벌개혁 정책과 함께 시장을 통한 압력이라는 양 날개로 추진돼야 한다. 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인 ‘스튜어드십 코드’는 시장을 활용한 대표적 수단이다.

스튜어드십 코드로 가장 주목받는 기관투자자는 역시 국민연금이다. 국민연금은 국내 주식에 122조원(올해 5월 말 기준)을 투자하고 있다. 이는 한국주식시장 시가총액의 7%에 달한다. 지분 5% 이상 보유 종목도 277개다. 자산 규모가 계속 늘어나는 국민연금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한다면 상장기업의 투자, 이사 선임, 배당 등 중요한 경영 판단을 국민연금이 주도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국민연금은 공공적 성격 때문에 정치적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국민연금이 커질수록 연금사회주의와 같은, 의결권 직접행사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는 이유이다.

그 해법으로 운용자산 145조 엔 규모(약 1475조원, 지난해 말 기준)로 세계 최대 연기금인 일본의 ‘연금적립금관리운용(GPIF)’의 사례를 참고해보자. GPIF는 기금 포트폴리오의 23.3%를 차지하는 국내 주식 투자를 전부 펀드 방식으로 아웃소싱(외주)한다. 펀드 내 주식에 대한 의결권은 자산운용사가 행사한다. GPIF는 운용사의 스튜어드십 코드 이행에 대한 모니터링 등 관리 업무만 한다. 의결권 직접 행사에 따른 정치적 논란과 오해를 피하고 시장 참가자의 집단 지성이 발휘될 수 있게 한 탁월한 선택이다.

국민연금도 운용과 의결권 행사를 과감히 100% 아웃소싱할 필요가 있다. 현재 국민연금은 국내주식 투자의 절반가량을 위탁운용하면서 펀드가 아닌 일임 방식으로 운용하고 있다. 일임 방식으로는 국민연금이 직접 의결권을 행사하기 때문에 정치적 논란을 피할 수 없다.

의결권 자문회사의 육성도 필요하다. 선진국에서는 전문적인 자문회사가 기관투자자들을 대신해 상장기업의 주총 안건을 분석하고 찬반 의견을 권고한다. 전 세계 약 1700개 기관투자자에게 자문하는 ISS가 대표적이다. 현재 한국에서 의결권을 자문하는 기관은 소규모 자문회사 서너 개 밖에 없다. 국내 의결권 자문서비스시장이 성장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과 함께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기업지배구조 개선은 정부의 노력과 시장의 자율적 힘이 더해질 때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이 국내 주식 운용과 의결권 행사를 시장에 맡기는 결단이 필요하다. 정부 당국의 현명한 판단을 기대해본다.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