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연차휴가·칼퇴근 잘 지키나, 청와대 직원 평가에 반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정부기관 초과근무 단축 및 연차휴가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문 대통령,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홍장표 경제수석.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24일 오전 청와대에서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회의 직후 브리핑에서 “정부기관 초과근무 단축 및 연차휴가 활성화 방안에 대한 보고가 있었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문 대통령,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홍장표 경제수석. [청와대사진기자단]

청와대가 24일 연차휴가 사용률과 ‘가정의 날’ 정시 퇴근 이행률을 성과 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청와대는 매주 수요일을 정시(오후 6시) 퇴근하는 ‘가정의 날’로 지정한다.

‘휴식 있는 삶’ 청와대가 앞장키로 #“대통령도 월 1일 관저서 쉴 예정” #내달 정부기관 휴가 활성화안 마련 #10월2일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엔 #“인사혁신처에서 논의하기 시작”

문재인 대통령은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청와대 내부 지침을 이정도 총무비서관으로부터 보고받았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국정과제 중 하나인 ‘휴식 있는 삶을 위한 일과 생활의 균형 실현’을 위해 정부가 모범 고용주로서 선도해 나갈 필요가 있다”며 “청와대도 이러한 취지에 맞춰 청와대 직원의 연가 사용 활성화 및 초과근무 최소화를 위한 내부 지침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새로 마련된 지침에 따르면 우선 신규 임용 공무원은 임용 시점에 비례해 연가 일수를 부여키로 했다. 일반직 공무원이 아닌 별정직 공무원이 주로 해당된다. 이에 따라 5월 10일 취임한 문 대통령의 연가 일수도 기존 21일에서 14일로 줄어들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일한 만큼에 대해 주어진 (연가) 일수 산정이면 그렇게 해야 되겠죠”라고 말했다고 한다. 문 대통령에게 남은 연차휴가는 8일이다. 지난 5월 22일 하루짜리 연차를 내고 양산 사저를 다녀왔고 7월 31일~8월 4일까지의 여름휴가 동안 연차휴가 5일을 썼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남은 넉 달 동안 한 달에 하루 정도씩은 관저에서 쉬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연가 일수의 70% 이상은 의무 소진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다. 연가 일수 의무 소진에 따라 줄어드는 연가보상비는 전문임기제 공무원 신규 채용 등 인력 충원에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회의에선 올 9월 중으로 정부기관의 초과근무 단축 및 연차휴가 활성화 방안도 마련해 발표키로 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 시절 “우리는 참 많이 일한다. 새로운 정부에서는 열심히 일한 국민에게 쉴 권리를 찾아드리겠다”며 연차휴가 사용 의무화와 대체휴가 확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 대통령에 당선된 뒤에도 “연차휴가를 다 쓰겠다”며 예정된 여름휴가를 다녀왔다. 그러나 북한의 미사일 도발로 안보 위기가 고조된 국면에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여름휴가를 취소했고,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휴가 도중 업무에 복귀하는 일도 있었다. 송영무 국방부 장관도 여름휴가를 포기했다. 비상상황이 잦은 청와대의 특수성을 감안하면 휴가 보장제도가 실질적으로 이뤄질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청와대가 휴가 권장에 나서면서 올 추석 연휴 시작 전인 10월 2일(월)이 임시공휴일로 지정될지도 관심이다.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면 이전 주말인 9월 30일(토)부터 개천절인 10월 3일(화)과 추석 연휴(4~6일)를 거쳐 한글날인 10월 9일(월)까지 최장 10일을 쉴 수 있다. 지난달 6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위원장이었던 김진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당시 “올해 10월 2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에 대해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지정하는 방향으로 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임시공휴일을 확정하려면 인사혁신처가 ‘관공서의 임시공휴일 지정안’을 만든 뒤 차관회의를 거쳐 국무회의에서 의결해야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인사혁신처에서 임시공휴일 지정 여부 논의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