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푹푹 찌는 날 노숙인 괜찮을까 … ‘서울역 보호반’ 1.3㎞구간 여섯 번 순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서울시 폭염 특별대책반 대원이 8일 서울역 광장에서 노숙인의 건강상태를 살피고 있다. 대책반은 노숙인들에게 생수와 식염 포도당을 나눠 준다. [우상조 기자]

서울시 폭염 특별대책반 대원이 8일 서울역 광장에서 노숙인의 건강상태를 살피고 있다. 대책반은 노숙인들에게 생수와 식염 포도당을 나눠 준다. [우상조 기자]

폭염이 절정에 이른 지난 8일 오후 2시 지하철 1호선 서울역 2번 출구 앞 희망지원센터에서 사회복지사 임종혁(31)씨가 분주하게 움직였다. 5L 보랭 용기를 얼음과 커피로 꽉 채웠다. 서울시 ‘노숙인 여름철 특별보호대책반’(이하 대책반) 소속 막내 대원인 임씨의 ‘순찰’ 준비다. 태양이 뜨거운 오후 1~2시에는 30분만 순찰을 해도 노숙인들에게 나눠주는 커피 5L가 금세 동난다.

자치구 직원, 사회복지사 등 54명 #역 주변 등 두 달간 2만건 도움 줘 #“냉커피 5L 타가면 30분 만에 동나 #멀쩡한데 왜 돕냐 항의 안타까워”

서울역 광장에 들어서자 노숙인 곽모씨가 “종혁 선생”이라며 임씨를 불렀다. “오늘은 약주 안 하셨어?” 임씨가 웃으며 인사를 건넨 것도 잠시, 숨을 가쁘게 내쉬는 곽씨를 본 임씨의 표정이 굳었다. “병원에 모셔다 드리겠다”는 임씨와 손사래를 치는 곽씨가 실랑이를 벌이는 사이, 임씨와 동행한 간호사 김수민(36)씨가 다가와 곽씨의 엄지에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물렸다. 김씨는 “열사병에 쉽게 노출되는 요즘 날씨엔 노숙인들의 동맥혈 산소포화도가 위험 수치인 85% 이하로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다”며 곽씨를 서둘러 휠체어로 옮겼다.

8월은 노숙인 특별보호대책반 대원들이 가장 바쁜 달이다. 대책반은 자치구 직원, 민간 사회복지사 등 54명으로 이뤄졌다. 노숙인이 많은 지역을 순찰하면서 그들의 건강 상태를 체크한다. 생수나 식염 포도당을 건네는 일을 포함해 지난 두 달간 약 2만 건의 구호 조치를 했다.

대책반 한 명이 서울역 광장에서 용산동 두텁바위로에 이르는 약 1.3㎞ 구간을 하루 최대 여섯 번 왕복한다. 40분이면 왕복이 가능한 거리지만 노숙인들을 한 명 한 명 챙기다 보면 2시간을 넘기는 일이 잦다.

11년차 사회복지사인 이태용(43) 팀장은 “노숙인들과 관계를 맺는 일이 가장 큰 숙제”라고 말했다. 경계심이 많고 사회성이 떨어지는 노숙인들은 매일 커피와 빵을 건네고 안부를 묻는 일이 수개월 반복되고 나서야 서서히 마음을 연다고 했다. 그는 서울역 인근 거리 노숙인 150여 명의 이름을 외우고 있다. 이름을 불러줘 자존감을 세워주는 것이 노숙인과 관계를 형성하는 첫 단계다. 새로운 얼굴이 보이면 이씨는 그를 ‘선생님’이라 부른다. ‘내가 무슨 선생이냐’는 무뚝뚝한 답변이 돌아오기도 한다. 이렇게 인연을 맺은 노숙인 중에는 자활에 성공해 연락을 이어가는 이들도 적지 않다.

대책반의 활동에 “왜 사지가 멀쩡한 사람을 세금으로 도와주냐”는 항의 전화가 걸려오기도 한다. 하지만 장기간 사회나 가족으로부터 격리돼 알코올중독 등의 질환을 앓는 이들에게 신체는 물론 정신적 회복이 필요하다는 게 대책반 대원들의 설명이다.

8년차 사회복지사인 김민수(35)씨는 “초년병 때는 먹고사는 일을 돕는다고만 생각했는데, 지금은 사회성 회복을 도우면서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는 2010년 노숙인 축구 동아리 ‘희망의 불씨’의 창단을 도왔다. 지금도 일주일에 한 번 서대문구 문화체육회관에서 노숙인 20여 명과 축구 경기를 하고 식사를 함께한다.

이름을 되찾고 운동을 하면서 자존감을 회복한 노숙인들은 자활 의지가 높고 사회 적응도 빠른 편이라고 김씨는 강조했다. 축구 동아리의 한 노숙인은 수년간 쉼터에서 쪽방으로, 다시 고시원에서 원룸을 거쳐 임대주택에 입주했다. 지금은 재활용품 제조 기업에서 일하는 어엿한 직장인이 됐다고 했다.

순찰을 마치고 쉼터에 돌아와 팔토시를 벗으면 대원들의 팔엔 햇볕에 그을린 곳과 토시에 가려진 곳 사이 선명한 경계가 생긴다. 이 팀장은 “노숙인을 그저 없어져야 하는 대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조금이라도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는 “그들은 굶주림이나 질병보다 외로움을 가장 힘들어한다”며 냉커피를 다시 만들기 시작했다.

홍지유 기자 hong.jiy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