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 번 퇴직 해보니 퇴직 준비가 절실하더군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은퇴 후에도 나는 더 일하고 싶다』

『은퇴 후에도 나는 더 일하고 싶다』

"아침에 일어나서 갈 곳이 없다. 마음이 움츠러들고 갑자기 실업자가 된 느낌에 사람들과 부딪치는 것이 불편해지기도 한다. 대낮에 지하철을 타다 '내가 왜 이 시간에 여기 있지'라는 생각에 가슴이 미어진다. 길거리에 바쁘게 움직이는 사람들을 보면서 괜히 위축되는 나를 발견하게 된다. '나는 이제 어디로 가지'라는 생각에 눈가에 이슬이 맺힌다."

최재식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퇴직교육 전도사 자처

최재식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61)은 최근 펴낸 자신의 책 『은퇴 후에도 나는 더 일하고 싶다』에서 자신이 경험했던 퇴직 이후 삶을 이렇게 표현했다. 이른바 '정년 공황'이다.

최재식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

최재식 공무원연금공단 이사장

1977년 총무처(현 인사혁신처)에서 공직생활을 시작한 그는 1982년 공무원연금공단이 설립될 때 처음 연금 업무와 인연을 맺었다. 공단에서만 32년간 근무한 뒤 2014년 1월 첫 퇴직을 했다. 운 좋게도 그해 9월 이사장으로 다시 복귀했지만, 처음 접했던 퇴직 이후 8개월 간의 삶은 글처럼 먹먹하고 절절했다.

자타공인 연금 전문가로 은퇴를 미리 생각하고 제법 준비했다고 생각했던 그도 "막상 실제로 은퇴를 하고 보니 생각보다 준비된 것이 별로 없더라"고 고백했다. 그가 이사장으로 복귀한 뒤 공무원들을 위한 퇴직교육에 더욱 힘을 쏟게 된 계기다.

관련기사

"나름대로 퇴직 준비를 잘했다고 생각했습니다. 한데 연금 등 재무적인 영역만 챙겼을 뿐 심리적인 부분이나 시간 관리와 같은 비재무적인 영역에 대한 준비가 더 절실하다는 걸 깨달았죠."

8개월 만에 다시 친정으로 복귀한 그는 공무원의 퇴직교육 확대에 방점을 찍었다. 취임 이후 퇴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하는 은퇴설계 교육 규모를 확대했다. 또 지난해에는 은퇴교육 전담부서인 은퇴설계지원실을 출범시키고 전담 인원을 늘렸다. 교육 내용과 방식도 개선했다. 미래설계과정(건강, 재무, 법무, 여가, 대인관계 등 소양 함양)과 전직설계과정(재취업, 창업, 사회공헌, 귀농귀촌 등 전직 지원)을 나눴다. 생애설계 6대 영역을 표준화하고 교재도 발간했다. 연간 4만명 안팎의 공무원이 퇴직을 하는데 기존에는 퇴직교육을 받는 비율이 15%선에 그쳤지만 올해는 이 비율이 40%를 넘길 전망이다.

최 이사장은 퇴직 경험과 출간 경험을 합쳐 퇴직교육 '변화관리' 영역의 강사로도 나섰다. 퇴직 이후 맞이할 수 있는 다양한 심리변화에 주목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비전 정립 등 정년 공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노하우를 전수한다. "'닥치면 어떻게 되겠지'라는 막연한 낙관주의부터 버려야 합니다."

그는 무엇보다 '가교직업(bridge job)'을 가져야 한다고 조언한다. 국내 퇴직 시스템은 아직까지도 대체로 '완전근무'에서 '완전퇴직'으로 바로 넘어가는 '절벽시스템'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교 직업은 현직 경력을 활용한 재고용 형태가 될 수도 있고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일을 할 수도 있다. 사회공헌활동 등 봉사도 포함된다. "지금까지는 돈을 벌기 위해 할 일만 고려했다면 앞으로는 내가 할 수 있는 일 또는 하고 싶은 것, 나눌 수 있는 일 등을 찾아야 합니다."

올 9월 두 번째 퇴직을 앞두고 있는 그는 퇴직 이후 연금전문가로써 역량을 발휘해 연금 관련 책을 집필할 계획도 세워뒀다. 대중들이 연금에 갖는 불신과 오해를 풀고 연금을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목표다.

최 이사장은 공무원연금공단이 지난 2015년 제주도 서귀포로 터를 옮긴 뒤부터 매일 아침 서귀포 고근산에 오른다. 여전히 인생의 마지막 3분의 1을 어떻게 보내야 할 지에 대해 고민하고 또 고민한다. "한 번 퇴직해 봤으니 두 번째는 좀 낫겠지요."
서지명 기자 seo.jimyeong@joongang.co.kr

☞최재식 이사장은=57년 경북 경주 출생으로 성균관대 행정학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공무원연금공단에서 공무원연금연구센터장, 전략기획실장, 연금사업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공무원연금개혁과 공무원 후생복지 증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 받아 2001년 근정포장, 2012년 국민훈장 동백장을 받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