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이 띄어쓰기 불편함 개선 앱(App) 개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유튜브 캡쳐]

[유튜브 캡쳐]

 일산의 한 고등학생이 휴대전화 한글 입력방식을 개선, 띄어쓰기 불편함을 개선한 키보드 앱을 개발해 주목 받고 있다.

경기 고양시 백마고 3학년 김규리 양 개발

주인공은 경기도 고양시 백마고등학교 3학년 김규리(18)양.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키보드앱은 컴퓨터와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자판 방식인 쿼티 키보드(두벌식) 자판으로, 이 키보드를 이용해 띄어쓰기하려면 키보드의 맨 아래에 놓인 스페이스 키를 이용해야 한다.

김양은 지난해 가을 부모님에게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보내다 쉽게 띄어쓰기 할 방법이 없을까 고민에 빠졌다.

김양은 고민을 하던 중 휴대전화로 메시지를 작성할 때 터치한 글자 자판이 트랜스포머 변신 로봇처럼 스페이스 키로 바뀌면 멀리 있는 스페이스 키까지 왔다 갔다 할 필요가 없다는 아이디어를 생각해 냈다.

김양은 이 아이디어를 가지고 전문 프로그래머를 찾았다. 그리고 6개월여 동안 시행착오를 거쳐 기존의 쿼티 키보드 자판을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띄어쓰기의 불편함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키보드인 '쿼티 스페이스 키보드' 앱을 개발했다.

기존에 '나'라는 글자를 입력하고 띄어쓰기를 하려면 '나'의 모음인 'ㅏ' 자판을 누른 뒤 다시 키보드 맨 아래에 놓인 스페이스 키를 눌러야 했지만, 김양이 개발한 앱은 'ㅏ' 자판을 한 번 누르면 'ㅏ' 자가 입력이 되면서 임시로 '스페이스 키'로 전환이 된다.

즉,키보드 자판을 터치할 때마다 '글자판-스페이스 키-글자판- 스페이스 키'가 계속 반복되는 것이다. 이를 토글(Toggle)이라고 하는데, 이 방식에 따르면 글자 자판을 터치해 문자를 입력하면 터치한 자판이 곧바로 '스페이스 키'로 바뀌게 된다.

띄어쓰기할 경우 방금 누른 자판을 제자리에서 다시 터치만 하면 되기 때문에 스페이스 키를 쳐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스페이스 키까지 왔다 갔다 하는 시간과 거리를 절약하고 스페이스 키에 인접해 있는 다른 자판을 잘못 터치해 발생하는 오타까지 방지해준다.

그러나 이 아이디어를 그대로 적용하다 보니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가 발생했다.

똑같은 자판을 누르면 누를 때마다 자판의 글자와 띄어쓰기가 교대로 바뀌게 되는 원리 때문에 '국가' 와 같이 앞글자의 종성(받침)과 뒷글자의 초성(첫 글자)이 똑같은 글자의 경우 뒷글자의 초성이 입력되는 대신에 '국 _ ㅏ'와 같이 잘못 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한 것.

김 양은 이 문제도 해결했다. 즉 앞에 글자(국)가 오고, 뒤이어 띄어쓰기( _ )가 오고, 모음(ㅏ) 이 오면 "앞의 종성(받침)을 복사해서 띄어쓰기 대신에 바꾸라"고 하는 알고리즘을 적용한 것.

[유튜브 캡쳐]

[유튜브 캡쳐]

또 'ㅋㅋ' 'ㅠㅠ'와 같은 의성어를 입력할 경우 'ㅋ _ ' 'ㅠ _ '와 같이 입력되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경우도 별도의 알고리즘을 적용해 'ㅋㅋ' 'ㅠㅠ' 와 같이 정상적으로 입력이 가능하도록 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더블 키보드'를 검색하면 누구나 이 앱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앞서 김양은 2013년 1월 삼성 휴대전화의 한글 입력방식인 천지인 키보드를 개선한 '천지인 더블키보드' 앱을 개발해 호평을 받기도 했다.

김양은 앞으로 "국어교사나 드라마 PD, IT 사업가 등 하고 싶은 일이 많다"면서 "많은 사람이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인 한글을 올바르게 사용하는데 이 앱이 도움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온라인 중앙일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