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 환자가 1년에 한번 꼭 안과 찾아야하는 이유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이민영 기자]

녹내장 환자의 시야. 사진 중앙포토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인 녹내장은 실명까지 유발하는 위험한 질병이다. 그렇지만 시신경이 손상됐을 때 알아차릴 수 있는 증상이 거의 없다.

환자가 이상을 느껴 병원을 찾았을땐 이미 손 쓸수  없는 정도까지 시신경이 손상된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의 비중이 높은 것도 자각증상이 뚜렷하지 않아 내원이 늦어지는 이유다.

국내 녹내장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다르면 녹내장 환자는 2012년 58만3000명에서 2016년 80만6000명으로 5년간 38% 증가했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안과 서울 교수는 "노인 인구가 늘고있는것뿐 아니라 녹내장의 위험요인인 당뇨병, 심혈관계질환을 가진 환자도 덩달아 증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녹내장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다. 서울 교수는 “40세 이상이면 1년에 한 번은 안과검진을 받을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가족 중에 녹내장을 진단받은 사람이 있는 경우엔 유전적 원인에 의한 녹내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기적으로 녹내장 검진을 받아야 한다. 당뇨나 심혈관계질환이 있는 경우도 녹내장 위험군에 속한다.

 녹내장 치료는 녹내장이 진행되는 것을 늦추는 것이 목표다. 한번 망가진 시신경은 돌이킬 수 없어서다. 그런데 환자들 중에는 녹내장치료를 스스로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를 받는 도중 눈이 불편해지는 증상이 있어서다. 서울 교수는 "임의로 치료를 중단하지 말고 꾸준히 치료를 받는 것이 녹내장으로부터 눈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