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블랙홀 vs 전국구 도시 … 세종시 전입인구 해석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3면

“전입인구 대부분이 충청권 주민인 평범한 신도시에 불과하다”

충청 유입 비율 59%로 가장 높아 #수도권 과밀해소 등 못한다는 우려 #“타지역 인구 유입 증가세” 반론도 #자족기능 확충땐 전국서 이주 예상

"인구가 수도권과 영·호남에서도 몰려드는 ‘전국구 도시’로 자리잡았다”

세종시 인구 구성을 놓고 이런 논란이 일고 있다. 세종시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2012년 7월 세종시 출범 이후 지난해 말까지 유입 인구는 총 13만7199명이다. 시·도별로는 대전이 5만2244명(38%)으로 가장 많고 ▶경기 2만1909명(16.59%)▶서울 1만6818명(12.25%)▶충북 1만5262명(11.12%)▶충남 1만4050명(10.24%) 등의 순이다. 권역 별로는 충청권(대전, 충남·북)이 8만1556명(59.1%)으로, 수도권(서울·인천·경기) 4만1818명(30.5%)의 2배 가까이 된다. 지난해 말 세종시 인구는 24만6792명으로 출범 당시(10만 3127명)에 비해 14만3665명이 늘었다.

지난 2월 20일에는 25만명을 돌파했다. 세종시 전입 인구는 갈수록 충청권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2013년에는 수도권이 50.7%, 충청권이 37.8%이었다. 하지만 2014년 충청권이 57.3%로 수도권(33.9%)을 앞질렀다. 2015년에는 충청권이 유입 인구의 64.7%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같은 흐름은 정부부처 이전 시기와 관련이 있다. 세종시에는 2012년 이후 중앙행정기관과 정부출연연구기관 55곳(1만8244명)이 이주했다. 대부분의 기관은 2014년까지 이전을 마무리했다. 게다가 지난해 7월부터 세종시 아파트의 거주자 우선분양 물량이 절반으로 감소함에 따라 인접 지역에서 세종시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충청권 유입 인구 비율이 커지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건설 취지인 수도권 과밀 해소와 균형발전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수도권 인구를 끌어오려면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국회 등을 이전하고 기업 유치를 비롯 자족기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윤준상 공주대 지역개발학과 교수는 "국회나 헌법재판소 등 권력기관을 추가로 이전해야 한다”고 했다. 반론도 만만치 않다. 수도권에서 유입된 인구가 적지 않은 데다 영·호남 등 다른 지역에서도 이주가 꾸준해 인구 분산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충청과 수도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의 세종시 유입 인구 비율은 2014년 8.73%, 2015년 9.9%, 지난해 12.5%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국토연구원 강미나 연구원은 "분당·평촌 신도시가 조성될 때도 처음에는 인근 지역에서 몰렸다가 유입 범위가 점차 확대됐다”며 " 자족 기능이 확충되고 도시가 안정되면 전국 각지에서 이주 인구가 늘 것”이라고 했다.

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