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레포는 버려지는가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501호 31면

시리아 북부도시 알레포사태를 진정시키기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 제출된 결의안이 지난 8일(현지시간)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되지 않았다. 알레포는 2011년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이다. 시리아 정부군과 그들을 지원하고 있는 러시아군은 지난달 19일 반군과의 임시휴전이 무산된 이후 알레포에 대한 공습을 이어오고 있다. 이로 인해 알레포는 외부와 차단돼 고립되고 다수의 사상자가 연일 발생하고 있다.


알레포의 민간인들이 죽어가고 있는데도 국제사회는 알레포를 구하지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바라만 보고 있다. 내전 6년째를 맞아 이제는 시리아인에 대한 세계 언론과 외부인의 관심도 줄어들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시리아사태와 관련한 유엔 결의안에 대해 거부권을 반복적으로 사용해 왔다. 이 때문에 안보리 회의는 블랙 코미디 공연처럼 보인다. 시리아 민간인들의 고통과 피 위에서 러시아와 중국은 코미디를 하고 있을 뿐이다. 이번에도 안보리에서 시리아의 고통을 끝낼 새로운 대안은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그 사안에 대한 무책임한 처리 수준을 보여줬을 뿐이다. 러시아는 프랑스가 제출한 결의안을 거부한 직후 ‘뼈를 부수는’ 게임에 갇힌 알레포 북부지역 대한 공습을 재개했다.


시리아사태에 대한 미국의 개입 수준에 대해 다수의 시리아인들은 ‘정부군을 향한 실질적인 위협은 아니고 러시아에 대한 일종의 정치적인 협박 혹은 러시아에 대한 정치적인 공작’ 정도로 본다. 러시아와 중국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임기가 얼마 남지 않아 해결책을 찾지 못할 것이라 간주하고 이 상황을 이용하고 있다.


아랍연맹은 안보리가 아닌 유엔 총회를 통해서 시리아 문제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총회에서는 회원국 3분의 2 찬성으로 결의안을 통과시킬 수 있다. 그 결의안은 러시아, 중국과 같이 안보리에서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 등이 포함된 모두가 준수해야 한다.


시리아 정부는 도처에서 매일 자라고 있는 테러리스트들과 맞서 싸우는 전사로 자신을 포장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시리아 사태를 지루하게 늘여놓았고 그 문제의 해결을 모색할 희망을 없애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강대국들이 작은 나라의 무고한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다는 데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들의 이익을 나눠 가지거나 때론 개인적인 이익을 더 차지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는 것이라고밖에 말할 수 없다. ‘황소가 서로 충돌하면 풀이 죽는다’는 속담도 있다.


압둘와합?모하메드 아가동국대 법학대학원?박사과정·헬프시리아?사무국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