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능산리고분군 발굴, 2기는 백제 왕릉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기사 이미지

문화재청 이 지난 6월부터 발굴 조사를 벌여온 충남 부여 능산리 고분군 현장. 20일 한국문화전통대학교 고고학 연구소 연구원 들이 왕릉급으로 추정되는 2기(8·10호분)에서 발굴 작업을 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부여 능산리 고분군에서 백제 왕릉급으로 추정되는 고분이 확인됐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지난 6월부터 충남 부여 능산리 고분군 서쪽지역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무덤 3기를 추가로 발견하고, 기록으로만 존재하던 무덤 4기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냈다고 20일 밝혔다. 또 기존 4기 고분 중 2기가 왕릉급 고분이라는 사실도 새롭게 확인했다.

알려지지 않았던 3기 새로 발견도
“봉분·호석·석실 등 사료가치 높아”

부여 능산리 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3차례(1915년, 1917년, 1937년) 조사가 이루어지면서 총 15기의 고분이 확인됐고, 이후 1960년대에 봉분을 정비하다가 고분 2기가 추가로 확인되어 현재까지 총 17기의 고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이번 조사에서 고분 3기의 존재가 추가로 확인되고, 여기에 발굴조사된 고분 2기가 왕릉급이라는 사실까지 확인됨에 따라 추후 조사가 마무리되면 백제 왕릉의 축조기법까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능산리 고분군은 지난해 7월 백제 왕릉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다른 백제 유적들과 함께 백제역사유적지구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된 바 있다.

이번에 발굴조사가 이뤄진 2기(8·10호분)는 지름이 15∼20m이며, 횡혈식 석실(橫穴式 石室·굴식돌방무덤) 구조로 조성됐다. 또 백제의 왕릉급 무덤에서 발견되는 호석(護石·무덤을 둘러싼 돌)이 확인됐고, 고분 입구에서 유골을 안치한 방까지 이어지는 연도(羨道)의 문 밖에서는 옻칠과 도금의 흔적이 있는 목관 조각과 금동 못이 나왔다. 목관의 수종은 무령왕릉 등에서 발견된 금송(金松)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발굴 조사한 무덤 중 한 기는 일제강점기에 발굴이 끝났고, 다른 한 기는 처음 발굴했으나 도굴의 흔적이 역력했다”면서도 “봉분의 모양, 호석, 석실이 전체적으로 잘 남아 있어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또 “향후 발굴조사를 추가로 하면 백제 왕릉의 축조기법을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덧붙였다.

박정호 문화전문기자 jhlogo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