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취재일기

인천대 안전공학과 ‘취업률 1위’ 비결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최모란 기자 중앙일보 기자
기사 이미지

최모란
내셔널부 기자

지난 6일 인천대 안전공학과 강의실. 학부 과정 남녀 대학생 7명이 이동호 교수의 강의에 눈과 귀를 집중했다. 강단 앞에 설치된 대형 스크린에 한 주상복합건물의 설계도면이 떴다. 도면 속 캐릭터들의 머리 위 숫자 ‘0’이 불길이 번지면서 1, 2, 3으로 높아지더니 숫자가 5가 되자 캐릭터들이 쓰러졌다. 이 교수는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제 건물 도면을 활용해 시뮬레이션 교육을 진행했다”고 소개했다.

이 시뮬레이션은 이 학과 대학원생들이 며칠 밤을 새워 만든 연구과제의 결과물이다. 선배 대학원생들이 만든 연구과제물을 후배 학부생들이 훌륭한 교재로 활용한 것이다. 학부생들은 시뮬레이션을 보며 설계도면을 분석하고 인명·재산 피해를 줄일 더 좋은 아이디어를 찾기 위해 토론했다.

이처럼 현장감 넘치는 수업은 높은 취업률로 열매를 맺었다.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 이 학과를 졸업한 32명 중 31명이 취업에 성공했다. 이 기간 취업률은 96.9%였다. 4년제 대학 공학계열 취업률로는 전국 1위다.

취업의 내실도 좋다. 졸업생의 66%가 대기업과 중견기업에 취업했다.

기사 이미지

산업·재난 현장의 실무교육으로 취업률 1위를 기록한 인천대 안전공학과의 수업 장면. [사진 인천대]

황명환 교수는 높은 취업률에 대해 “세월호 참사를 비롯한 대형 사고를 계기로 안전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가 반영된 듯하다”고 분석했다.

이 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손지혁(24)씨는 “전공과 관련된 수업만 하는 다른 학과들과 달리 건축물 설계부터 전기·방재·화학·원자력 등을 종합적으로 배우기 때문에 기업들이 더 선호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 학과는 1989년 산업안전공학과로 신설됐을 때만 해도 산업·전기·기계 등의 안전 분야만 교육했다. 당시는 노동부(현 고용노동부)의 지침으로 안전 관련 학과만 졸업하면 100% 취업이 됐다. 하지만 98년 외환위기 이후 노동부가 의무고용제를 폐지하면서 학생들의 취업률은 반 토막이 났다.

이런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이 학과는 교육 범위를 화재·재난·원자력·폐기물 등 사회 전반 모든 분야로 확대해 다양화했다.

수업도 이론에 집중하다 현장 중심으로 확 바꿨다. 이에 따라 3~4학년 학생들은 여름방학마다 국내 대표적인 건설사들의 공사현장으로 가서 실무 경험을 쌓았다.

4학년 김영철(25)씨는 “현장에는 주변 여건이라는 새로운 변수가 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이나 설계도면 등을 통한 정보보다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고 말했다.

대학원생들의 연구 프로그램에 학부생들을 참여시키는 ‘학부연구생 제도’를 도입해 학부생들의 전문성을 키웠다.

청년(15~29세) 실업률이 상반기 10.8%로 치솟았다. 하지만 인천대 안전공학과는 발상을 바꿔 위기를 기회로 살려냈다.

최 모 란
내셔널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