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이현재, 정책실명제 도입법 발의…"정책의 김영란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에 담당 공무원의 이름표를 붙여 책임성을 높이는 ‘정책실명제’ 도입이 추진된다.

새누리당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이현재 의원(재선·경기 하남)은 ‘정책실명제 운영에 관한 법률안(제정법)’을 대표 발의했다고 2일 밝혔다. 이 의원은 산업자원부(현 산업통상자원부)를 거쳐 중소기업청장을 지낸 대표적인 행정전문가로, 국회 기재위 새누리당 간사를 맡고 있다.

이 의원은 “그간 정부는 대통령령인 ‘행정효율과 협업 촉진에 관한 규정’에 근거해 정책실명제를 운영하고 있으나, 법률이 아니다보니 제도의 강제성과 실효성이 약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며 “정책실명제법은 정부의 정책 책임자와 사업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해 국민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정책부문의 ‘김영란법(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이라 부를 만큼 공직사회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행 규정으로는 행정기관은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으로 지정해 정책의 추진실적을 공개할 수 있다. 그러나 법이 아니라 대통령령이다보니 행정부 스스로 선정할 수 있는 재량권이 넓다. 이에 따라 일부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만 정책실명제가 운영되고 있다.

법안에는 ▶정책의 결정이나 집행 과정에 참여한 관련자의 소속ㆍ직급ㆍ직위ㆍ성명과 그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기록ㆍ관리하고 ▶정책실명제 중점관리 대상사업에 해당하는 사업의 추진실적을 해당 기관의 정보통신망을 활용해 공개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이 의원은 “그간 우리는 행정부의 정책 실패에 대해서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은 채 익명에 기대어 면피만 일삼아 온 광경을 쭉 봐왔다”며 “정부가 정책을 추진할 때 좀 더 신중하게 하고,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기 때문에 국민의 혈세가 낭비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유미 기자yumip@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