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교육|대입 「선지원·후시험」싸고 공방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대학입시제도 개혁안을 둘러싼 논쟁에서 가장 큰 쟁점은 역시 「선지원 후시험제」의 도입여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5일 서울 도봉구 수유동 크리스천 아카데미 하우스에서 열린 「대입제도 개선을 위한 대화」모임에서 현행 선시험 후지원의 원칙을 당분간 계속 유지토록 되어있는 교육개혁심의회의 개혁안에 대해 이인호교수(서울대·역사학)를 비롯한 학자 및 전문가들은 전공계열부터 선택한 뒤 대입 학력고사를 치르게 하자며 팽팽히 맞서고 있는 것.
이 자리에서 이교수는 전국 모든 대학의 학교들을 10개 안팎의 계열로 나누어 수험생들이 시험치기 전에 전공계열을 선택케 하고 성적발표 후에는 각자의 지망계열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학과 학과의 선택권을 성적에 따라 우선적으로 가지게 하자는 방안을 주장했다. 이로써 현행입시제도의 가장 큰 부작용인 투기와 요행의 요소를 없애고 적성과 소망을 살린 진학을 도우며 억울한 탈락자와 재수생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30여명의 교수, 일선교사, 문교부와 사회단체 및 연구기관 관계자, 국회의원등 각계 각층 인사와 학부모가 참가한 이 모임에서 김영채교수(계명대)를 비롯한 심의회측은 『논술고사가 실시되고있는 현 실정에 맞지 않는다』는 등의 이유로 선지원 방식을 반대. 문교부 정희윤대학학무과장은 사견임을 전제, 『선지원 방식을 택하면 후기 지원자가 새로 시험을 치러야하는 문제가 있다』 고 밝혔다.
그러나 선지원 방식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현행 논술고사는 어차피 대학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획일적으로 관리해도 무방하다며 『선지원을 빼놓은 개선안이란 무의미하다』 고 재삼 강조했다.
한편 학력고사과목의 축소·조정에 대한 심의회 개혁안에 대해서는 원래 목적대로 수험생의 부담을 없앨 수 없을뿐더러 고등학교교육의 정상화만 그르칠 우려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수호교사(신일고)는 『시험과목수를 줄여보았자 어려운 과목을 더 깊이 공부해야한다』는 고충을 털어놓았다.
심의회 개선안 가운데 서울에서만 실시중인 예능계 실기고사 공동관리제를 전국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의견이 빗발쳤다.
각 대학에 실기고사를 맡긴것보다 문제점이 많을뿐더러 대학자율화를 지향한다는 원칙과도 어긋난다는 지적들.
한 문교부 관계자도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실시하기란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심의회가 대학의 계열·학과별 특성과 학생의 적성을 연결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한 과목별 차별적 가중치와 과락제 적용방안에 대해서도 상당한 반박이 따랐다.
김재규교장 (여의도고) 은『학력고사와 내신성적에 과목별 가중치를 적용하면 너무 복잡해서 학부모들이 이해하기 어렵고 교권 보장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임시제도는 보다 간단하고 알기 쉬운 것이라야 한다고 지적.
한편 한국교육개발원 신세호부원장은 『학력고사 성적과 고교 내신성적에다 수험생에 대한 대학측의 평가결과를 더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반영비율이나 대학별 평가방법까지 모두 각 대학이 결정토록 하여 대학의 특성과 자율권을 최대로 보장하는 시기를 지금부터 확실히 정해둘 것』을 요구했다. <김경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